올림픽공원/몽촌토성(25. 4.16) 봄 나들이
【몽촌 토성】
서울특별시 가락동과 방이동 일대 자연 구릉지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축조한 타원형에 가까운 마름모꼴의 성곽이다. 성곽의 전체 둘레는 2,285m이며 외성을 합할 경우 총면적은 30만 2,500㎡에 달하며 8,000~1만 명 정도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이다. 사적 제297호. 토성 내의 마을 이름인 '몽촌'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성은 본성과 이보다 작은 외성으로 되어 있고, 그 내부에서 백제 초기의 움집터와 기와 및 토기를 비롯한 각종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토기류 가운데는 백제의 대표적 토기라 할 수 있는 삼족토기가 다량으로 출토되어, 몽촌토성이 백제의 성곽임을 분명히 밝혀주었다.
몽촌토성은 백제의 초기 왕성인 하남 위례성으로 추정된다. 발굴 결과가 왕성임을 뒷받침해 주는 확실한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적심석을 갖춘 건물지 및 조경지로 추정되는 연못지의 흔적이 밝혀져 지금까지 출토된 각종 중국 도자기 및 와당 등의 유물과 더불어 왕성의 가능성을 증대시켜주고 있다. [출처 : Daum백과]
올림픽공원 7경인 88호수의 투영..
올림픽공원 3경인 몽촌해자에 벚꽃이 피어 있고..
올림픽 공원 9경 중 제4경인 '대화'(너와 나를 넘어 우리가 되는 유일한 길/알제리 아마라 모한)..
복사꽃도 피어 있고..
올림픽공원 5경인 몽촌토성 산책로에 있는 멋진 소나무..
몽촌토성 산책로에서 본 올림픽공원 1경인 평화의 문과 참가국의 국기들..
노랑 민들레가 무리지어 있는 것이 보기 좋습니다..
제비꽃도 무리지어 있고..
산책로를 따라 위에서 본 올림픽공원 6경의 나홀로 나무..
측백나무인 `나홀로나무`..
명자나무 꽃..
직박구리가 명자나무 꽃을 따 먹고 있습니다..
【종자 분산 에이전트, 직박구리】
직박구리는 약 24과 53종의 식물 열매를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3종이라는 다양한 열매를 섭취하는 것은 보면 정말 식물의 열매를 좋아하는 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식물의 열매를 좋아하는 식성 탓에 자연스레 숲의 종자 분산 에이전트를 자처하게 되었다. 그 예로 광나무(Ligustrum japonicum)는 우리나라 서남해안과 도서지역에 분포하는 식물이다. 주로 10월부터 1월까지 열매가 열려 겨울철 먹이를 찾기 힘든 직박구리에게 중요한 먹이자원이 된다. 광나무 열매는 그것을 섭식한 직박구리에 의해 종자의 발아시기가 단축되는 것으로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광나무뿐만 아니라 직박구리가 섭취한 다양한 식물의 씨앗은 동일한 방법으로 종자 발아를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직박구리가 열매를 섭취한 후 최소 300m 범위까지 이동하여 종자를 퍼뜨림으로써 동일한 공간에서 같은 종의 식물들끼리의 경쟁을 줄이고 새로운 공간으로 정착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해 산림보전에 보탬이 되고 있는 것이다.(출처 : 국립중앙과학관, 텃새과학관)
올림픽공원 7경인 88호수에 있는 오륜정..
철쭉도 피어나기 시작하고..
올림픽공원 7경인 88호수에 있는 날개짓이란 '스스무 신구'란 일본 작가의 작품과 조팝니무..
날개짓은 물, 바람, 햇빛 등 자연요소를 이용하여 움직임을 보여주는 작품..
올림픽공원 7경인 88호수의 투영..
'무한에 이르기까지의 여정'이란 일본 산따로 다나까 작품과 철쭉..
여기는 철쭉이 완전히 피어 있고..
조팝나무와 '무한에 이르기까지의 여정'..
올림픽공원 7경인 88호수 전경..
조각들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변신(에드가 네그리트, 콜롬비아)이란 작품..
올림픽공원 9 경인 장미광장에는 장미를 위한 거름 주기가 한창입니다..
23. 5.18일 장미광장에 장미가 피어 있는 모습..
올림픽공원 8 경인 들꽃마루에는 앞쪽에는 양귀비 / 뒤쪽에는 유채꽃이 심어져 자라고 있고..
23. 5.18일 양귀비가 곱게 핀 모습..
23. 5.18일 유채꽃이 피어 있는 모습..
기와를 입은 대지(이승택)와 소나무..
언덕에서 순록들이 아래를 내려다보고 있습니다..
김영원 작가의 길이란 작품..
【길】(김영원)
인생의 길에는 많은 변화가 있다. 작가에게 진정한 변화는 진화이며, 그것은 삶의 궁극적 목표이며 자연과 하나가 되는 지혜이다. 여기에 지혜를 위한 진정한 변화의 길을 걷고 있는 인간들이 있다.
조각공원입니다..
올림픽 공원 9경 중 제4경인 '대화'(너와 나를 넘어 우리가 되는 유일한 길/알제리 아마라 모한)..
박태기나무 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