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충원2 현충원 참배(24.5.22) 및 봉사활동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국방동우회에서 국립 서울현충원을 찾아 참배를 하고묘역에 소형 태극기를 꽂는 봉사활동을 하였다.【국립 서울현충원】 국립 서울현충원은 6·25 전쟁을 전후로 사망한 장병들의 영령이 전국에 산재해 있으므로 이들의 집단 안치를 목적으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관악산 줄기로 약 44만 평(144만㎡)의 대지에 1954년 육군 공병단에 의해 착공되어 1957년에 국군묘지로 준공되었다. 1965년 3월 30일 국립묘지로 승격하고 그 수용범위와 규모가 커졌다. 또한 1996년 6월 국립현충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청사를 준공했다. 안장 대상은 현역군인, 소집 중의 군인 및 군무원으로서 사망한 사람, 군 복무 중 전투에 참가하여 무공이 현저한 사람 등으로 국방부장관이 지정한 사람, 국장 또.. 2024. 6. 1. 국립현충원 참배 & 봉사활동(23. 5.23)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하여 국방동우회에서 국립 서울현충원을 찾아 참배를 하고 묘역에 소형 태극기와 헌화 꽃 봉사활동을 하였다. 【국립 서울현충원】 국립 서울현충원은 6·25 전쟁을 전후로 사망한 장병들의 영령이 전국에 산재해 있으므로 이들의 집단 안치를 목적으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관악산 줄기로 약 44만 평(144만㎡)의 대지에 1954년 육군 공병단에 의해 착공되어 1957년에 국군묘지로 준공되었다. 1965년 3월 30일 국립묘지로 승격하고 그 수용범위와 규모가 커졌다. 또한 1996년 6월 국립현충원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청사를 준공했다. 안장 대상은 현역군인, 소집 중의 군인 및 군무원으로서 사망한 사람, 군 복무 중 전투에 참가하여 무공이 현저한 사람 등으로 국방부장관이 지정한 사람, .. 2023. 6. 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