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동우회 등산팀의 10월 셋째 주 산행은 홍유릉 탐방 및 둘레길을 걸었다. 홍유릉은 조선의 26대 임금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과 그 아들 순종(조선 27대 임금이자 대한제국 2대 황제)과 왕비의 능이다. 홍유릉은 기존 조선 왕릉과는 달리 홍살문까지 기린·코끼리·해태·사자·낙타·말의 순으로 석수를 세웠고 문인석의 금관조복과 무인석의 성장이 강조하였다. 홍유릉을 둘러본 후 인근 식당에서 추어탕과 삼계탕에 막걸리 한 잔으로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고종과 명성황후가 합장한 홍릉..
【홍유릉洪裕陵사적 제207호, 홍릉과 유릉】
사적 제207호. 홍릉은 조선 제26대 고종과 비(妃)인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閔氏)의 능이다. 고종은 1919년 1월에 죽어 3월 홍릉에 초장 봉릉되었고, 명성황후는 1895년 8월 학살당하여 같은 해 10월 청량리 홍릉에 장사했다가 1919년 1월 홍릉으로 이장했다. 유릉은 조선왕조 제27대 순종과 그의 비 순명효황후 민씨(純明孝皇后閔氏) 그리고 계비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尹氏)의 능이다. 순종은 1926년 4월에 죽어 6월 이곳에 초장봉릉되었고, 순명효황후는 1904년 9월에 죽어 11월 성동구 능동 유릉에 장사했다가 1926년 6월 이곳에 천릉되었다. 순정효황후는 1966년 1월에 죽어 이곳에 묻혔다.
홍·유릉의 특징은 조선이 대한제국으로 선포되고 왕이 황제가 됨으로써 능역조성도 명(明)나라 태조의 효릉을 본받았다는 데 있다. 즉 종래의 정자각 대신 '一'자형의 정면 5칸, 측면 4칸의 침전을 세웠으며, 양석과 호석 대신 홍살문까지 기린·코끼리·해태·사자·낙타·말의 순으로 석수를 세웠다. 또 문인석의 금관조복과 무인석의 성장이 강조되었다. 홍릉의 석인은 전통적 수법을 따르고 있는 데 비해, 유릉의 것은 매우 사실적이고 개성적이다.(출처 ; 다음백과)
홍유릉 가기 전 역사체험관 ‘리멤버 1910’에 잠시 들러 자신의 전 재산(지금 화페가치로 1~2조원)을 신흥무관학교 설립 자금으로 댄 이석영(1855~1934) 선생과 6형제의 업적을 잠시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다. 역사체험관에는 역사 법정, 친일파 감옥 등이 있고 이중 역사 법정은 친일파를 재판하는 공간이 있다. 그곳에는 3명의 판사석이 있고 그 아래 검사석, 변호인석, 피고인석, 방청석이 있다. 판사석에는 이석영 선생과 그의 동생인 아나키스트 이회영 선생, 초대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 선생의 조형물이 세워져 있다. 이곳에서는 학생들이 판사, 검사, 변호사 등으로 역할을 나눠 친일파를 법정에 세운 뒤 가상 재판을 열어 단죄하게 된다.
반민족 행위 처벌 특별법정..
친일파 감옥은 법정 바로 옆에 있다. 안중근 의사 등 독립투사들이 수감됐던 중국 뤼순 감옥과 서대문 형무소도 재현했으며, 감옥 한 곳에는 쇠사슬에 묶인 채 엎드려 있는 모습의 친일파 이완용의 조형물을 설치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미디어 홀에는 이석영 선생 6형제와 대한민국을 빛낸 대표적인 6명이 손을 잡고 글로벌 시대를 이끌어 가는 한민족의 기상을 표현한 조형물과 퇴계원 산대놀이 12과장도 전시되어 있었다..
중국 뤼순 감옥의 안중근 의사가 수감되었던 수감실을 재현한 것..
쇠사슬에 묶인 채 엎드려 있는 매국노 이완용의 조형물..
미디어 홀에 이석영 선생 6형제와 대한민국을 빛낸 대표적인 6명이 손을 잡고 있는 조형물이 있고
퇴계원 산대놀이 12과장도 전시되어 있습니다..
역사체험관 ‘리멤버 1910’을 구경하고 이석영 광장을 지나 홍유릉 탐방을 하였다. 홍유릉은 고종과 명성황후의 합장릉인 홍릉(洪陵)과 순종과 두명의 왕후의 합장릉인 유릉(裕陵)을 합쳐서 부르는 명칭이다. 이외에도 영친왕과 이방자의 묘인 영원(英園), , 그리고 회은황세손 이구의 묘인 회인원(懷仁園)을 포함한 2기의 원(園) 및 의침왕과 의친왕비가 합장된 의친왕묘와덕혜옹주 묘를 포함한 왕자녀의 묘 2기, 그리고 고종의 후궁 3인, 의친왕 첩 2인을 포함한 후궁의 묘 5기가 홍유릉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어 대한제국 황실의 가족 묘역과 같은 역할을 하는 곳이다.
홍유릉으로 들어갑니다..
추진경로 : 홍유릉 입구 ~ 홍릉 ~ 유릉 ~ 영원 ~ 회인원 ~ 덕혜옹주 묘 ~ 의친왕 묘 ~ 홍유릉 입구의 원점회귀
와송이 보이고..
조선왕릉축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국가유산 조선왕릉축전】
올해로 5회째를 맞는 '국가유산 조선왕릉축전'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조선왕릉을 국내외에 알리기 위해 기획된 대표적인 왕릉 활용 행사로 10월 11일 홍릉-유릉에서 개막제를 시작으로 10월 12일부터 20일까지 조선왕릉 5곳(홍릉-유릉, 동구릉, 광릉, 사릉, 영릉)에서 개최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조선왕릉문화제’로 열린 행사가 올해부터 ‘국가유산 조선왕릉축전’이란 이름으로 새롭게 태어났다. 메인 프로그램은 ‘신들의 정원’과 ‘동구릉 야행별’인데 ‘신들의 정원’은 12~13일 홍릉·유릉에서 공연했고, ‘동구릉 야행별’은 19~20일 세종대왕이 잠들어 있는 영릉에서 공연을 이어간다.
연꽃 위를 3000여 마리의 나비가 춤추는 듯 홍릉 연지 주변은 빛의 정원으로 변신합니다.
대형 연잎이 있고..
홍릉 제실..
홍릉 제실에서 조선 왕실의 일상 등을 소개하고 스탬프를 찍으면 각각 다른 향이 스며 나오는 행사가 진행되고 있네요..
홍릉 들어가는 입구로 기존 조선 왕릉 입구와는 달리 홍살문까지 기린·코끼리·해태·사자·낙타·말의 순으로 석수를 세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홍릉】
사적 제207호. 홍릉은 조선 제26대 고종과 비(妃)인 명성황후 민씨(明成皇后閔氏)의 능이다. 고종은 1919년 1월에 죽어 3월 홍릉에 초장 봉릉되었고, 명성황후는 1895년 8월 학살당하여 같은 해 10월 청량리 홍릉에 장사했다가 1919년 1월 홍릉으로 이장했다. 홍릉의 특징은 조선이 대한제국으로 선포되고 왕이 황제가 됨으로써 능역조성도 명(明)나라 태조의 효릉을 본받았다는 데 있다. 즉 종래의 정자각 대신 '一'자형의 정면 5칸, 측면 4칸의 침전을 세웠으며, 양석과 호석 대신 홍살문까지 기린·코끼리·해태·사자·낙타·말의 순으로 석수를 세웠다. 또 문인석의 금관조복과 무인석의 성장이 강조되었다. 홍릉의 석인은 전통적 수법을 따르고 있는 데 비해, 유릉의 것은 매우 사실적이고 개성적이다.
지당(빗물을 저장, 연지로 배수하는 장치)과 제정(제례에 사용하는 물을 긷는 우물)이 있고..
능은 수수한 것 같네요..
향나무를 곳곳에 심어 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홍릉 비각과 비문..
홍릉에서 유릉가는 길에 있는 멋진 향나무..
유릉의 제실..
유릉은 홍릉보다 기린·코끼리·해태·사자·낙타·말의 석수가 크고 사실적인 것을 엿볼 수 있습니다..
【유릉】
유릉은 조선왕조 제27대 순종과 그의 비 순명효황후 민씨(純明孝皇后閔氏) 그리고 계비 순정효황후 윤씨(純貞孝皇后尹氏)의 능이다. 순종은 1926년 4월에 죽어 6월 이곳에 초장봉릉되었고, 순명효황후는 1904년 9월에 죽어 11월 성동구 능동 유릉에 장사했다가 1926년 6월 이곳에 천릉되었다. 순정효황후는 1966년 1월에 죽어 이곳에 묻혔다.
유릉의 비각과 비문입니다..
영원, 회인원으로 갑니다..
영원, 회인원 가는 길에서..
영원은 영친왕과 비인 마사꼬의 합장 원인데 원으로 가는 길은 바깥으로 돌아가게 되어 있습니다..
영원 비각과 비문..
회인원으로 영친왕의 둘째아들 이구의 원입니다..
영원과 회인원을 둘러보고 덕혜옹주와 의친왕 묘로 이동하는 길에 조선 왕릉에 대한 글이 있습니다..
덕혜옹주와 의친왕에 대한 글과 사진도 있습니다..
덕혜옹주의 모습..
덕혜옹주의 일대기..
대마도주와의 결혼식 사진도 있네요..
대마도에 있는 덕혜옹주 결혼 봉축비를 자세히 살펴보면 이왕가(李王家)라고 표시를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2017.2월 대마도 여행 당시 사진)..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1931.5월 쓰시마 번주 소 다케유기 백작과 결혼을 하였으며, 두 사람 사이에는 딸 정혜가 있었는데 평탄치 못한 삶을 살다가 자살(실종이라는 설도 있음)을 하였다. 이때의 충격으로 덕혜옹주는 우울증 등의 병으로 시달리다가 해방 후 1953년 다케유기와 이혼을 하고 한국으로 돌아오려고 했으나 이승만 대통령이 거절하여 한국으로 들어오지 못하다가 박정희 대통령이 승낙을 하여 1962년 귀국하여 1969년 창덕궁 낙선재에서 별세를 하였다. 덕혜옹주 결혼 봉축비는 결혼을 축하하는 뜻에서 건립되었으며, 현 기념비는 2001년 11월에 복원된 것이다.
의친왕에 대한 글..
덕혜옹주의 묘..
의친왕의 묘..
둘레길을 따라 홍유릉 입구로 이동합니다..
인근 설악 추어탕 집에서 추어탕과 삼계탕에 막걸리 한 잔으로 즐거운 시간을 가집니다..
추어튀김과 추어탕..
'풍경(축제, 볼거리 등) > 풍경(서울, 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복궁 탐방(24.11. 2) (103) | 2024.11.15 |
---|---|
광릉 숲길 트레킹 & 한강 일몰(24.10.23) (112) | 2024.11.03 |
제20회 국방일보 전우마라톤 대회(24.10. 6(일)) (108) | 2024.10.14 |
서울숲(24. 9.25)가을 나들이 (111) | 2024.10.02 |
올림픽공원 들꽃마루 탐방(24. 9.18) / 황화코스모스 (164) | 2024.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