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경복궁은 조선 왕조 제일의 법궁이다. 북으로 북악산을 기대어 자리 잡았고 정문인 광화문 앞으로는 넓은 육조거리(지금의 세종로)가 펼쳐져, 왕도인 한양(서울) 도시 계획의 중심이기도 합니다. 1395년 태조 이성계가 창건하였고, 1592년 임진왜란으로 불타 없어졌다가, 고종 때인 1867년 중건되었다. 흥선대원군이 주도한 중건된 경복궁은 500여 동의 건물들이 미로같이 빼곡히 들어선 웅장한 모습이었다. 궁궐 안에는 왕과 관리들의 정무 시설, 왕족들의 생활공간, 휴식을 위한 후원 공간이 조성되었다. 또한 왕비의 중궁, 세자의 동궁, 고종이 만든 건청궁 등 궁궐 안에 다시 여러 작은 궁들이 복잡하게 모인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거의 대부분의 건물들을 철거하여 근정전 등 극히 일부 중심 건물만 남았고, 조선 총독부 청사를 지어 궁궐 자체를 가려 버렸다. 다행히 1990년부터 본격적인 복원 사업이 추진되어 총독부 건물을 철거하고 흥례문 일원을 복원하였으며, 왕과 왕비의 침전, 동궁, 건청궁, 태원전 일원의 모습을 되찾고 있다.
광화문 ~ 흥례문 ~ 근정문 ~ 근정전 ~ 사정전 ~ 강녕전 ~ 교태전을 잇는 중심 부분은 궁궐의 핵심 공간이며, 기하학적 질서에 따라 대칭적으로 건축되었다. 그러나 중심부를 제외한 건축물들은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 변화와 통일의 아름다움을 함께 갖추었다. 수도 서울의 중심이고 조선의 으뜸 궁궐인 경복궁에서 격조 높고 품위 있는 왕실 문화의 진수를 맛보시기 바란다. (출처 ; 문화재청)
북악산을 배경으로 향원정이 맛깔스럽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향원정과 취향교】
향원정은 1873년 고종이 건청궁을 지을 때 옛 후원인 서현정 일대를 새롭게 조성하였는데 그 앞에 연못을 파서 연못 가운데에 인공의 섬을 만들어 2층의 육모지붕을 얹은 정자로 ‘향기가 멀리 퍼져나간다’는 향원정(香遠 亭)이라 불렀다. 향원지를 가는 섬에는 나무로 구름다리를 만들어 “향기에 취한다”는 뜻의 취향교(醉香橋)라 하였다.
취향교는 조선시대 연못에 놓인 목교로는 가장 긴 다리이다. 지금은 남쪽에서 나무다리를 건너서 섬에 가게 되어 있지만, 원래는 취향교가 북쪽에 있어 건청궁 쪽에서 건널 수 있었다. 이 다리를 남쪽에 다시 지은 것은 1953년이다. 향원지의 근원은 지하수와 열상진원 샘이며, 이 물은 경회루의 연지로 흘러가도록 되어 있다. (출처 ; 문화재청)
북악산 산행을 마치고 청와대정문으로 가는 길에서 본 은행나무들이 노랗게 물들어 있고..
청와대 뒤로 북악산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청와대 정문 앞쪽에 있는 경복궁 신무문으로 들어와서 본 중국식 양식인 집옥재,
그리고 협길당, 팔우정 이 3채의 건물은 당초 창덕궁 함녕전의 별당으로 지어진 건물..
【집옥재. 협길당,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 팔우정 이 3채의 건물은 당초 창덕궁 함녕전의 별당으로 지어진 건물이었으나, 1888년 고종이 창덕궁에서 경복궁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이 전각들도 옮겨온 것이다. 고종은 이 건물들을 어진의 봉안 장소와 서재 겸 외국사신 접견장으로 사용(1893년 한 해에만 영국, 일본, 오스트리아 등 외국 공사들을 다섯 차례 접견)하였다. 이 3채의 건물은 경복궁의 다른 전각들과 달리 중국식 양식으로 지어졌는데, 이는 당시로서는 신식이라고 생각되던 중국풍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집옥재(集玉齋 - 集玉 : 보배를 모으다)의 현판을 송나라 명필인 미불(米連, 字 元章)의 글씨를 집자(集字)하여 중국풍으로 만든 것도 이런 연유 때문이다. (출처 ; 문화재청)
경복궁에서 가장 운치가 있는 향원정과 취향교의 투영된 모습도 정말 멋집니다..
향원지의 근원이 된 열상진원 샘..
향원정과 취향교에 외국인들이 한복 차림으로 많이 와서 추억을 만들고 있더군요..
단풍과 함께 물에 투영된 향원정과 취향교
북악산을 배경으로 한 향원정 정말 맛깔스럽습니다..
정말 향원정 뜻과 같이 향기가 퍼져 나가는 것 같습니다..
고종의 양어머니인 신정왕후가 거처하던 전각인 자경전..
【자경전】[慈慶殿 - 慈慶 : 자친(어머니)이 복을 누린다]
경복궁 침전 동쪽 터에 자리한 자경전[慈慶殿 - 慈慶 : 자친(어머니)이 복을 누린다]은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고종의 양어머니가 되었던 조대비(신정왕후)를 위하여 지은 건물이다. 건물을 지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화재로 소실된 것을 고종 25년(1888)에 다시 지어 지금까지 남아 있다. 44간의 규모로 지어진 이 건물은 온돌방으로 꾸며진 복안당과 자경전, 동남쪽의 청연루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연루의 동측으로 협경당(協慶堂 - 協慶 : 함께 복(경사)을 누린다)이 연결되어 있다. 자경전 남쪽으로 행각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 여자들이 여닫기 쉽게 가벼운 당판문으로 된 만세문(萬歲門 - 萬歲 : 긴 시간)이 있다. (출처 ; 문화재청)
흥복전..
【흥복전】
1867년(고종 4년)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처음 지어졌으며 영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았던 창의궁의 함일재를 옮겨지었다고 전한다. 침전 건물이었으나 사신 접견 및 임금이 학문을 연마하는 경연과 양로연 장소로도 사용됐다. 대왕대비 조씨가 1890년 이곳에서 승하하였다. 아관파천 이후 제 기능을 상실했다가 1917년 소실된 창덕궁 침전 권역을 재건할 때 옮겨져 사라지고 해당 자리에는 일본식 정원이 들어섰다. 2015년 복원 공사를 시작하였는데, 시공업체가 복원 기준을 어기고 벽체와 지붕에 시멘트 20포대 분량을 섞은 재료를 쓴 사실이 드러나 2018년 4월부터 석 달간 재공사를 시행하여 2019년 복원을 완료하였고 단청은 2024년에 칠할 예정이다. 내부에는 현대식 화장실과 냉난방, 전기 시설 등을 최초로 갖춰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도록 하였다.(출처 :문화재청)
양의문으로 들어가는 왕비의 침전인 교태전..
【교태전】(交泰 : 천지, 음양이 잘 어울려 태평을 이루다) / 왕비의 침전
세종 때에 임금이 오래 머물 곳이라 하여 규모를 크게 하여 고친 후 온돌을 수리하는 도중 화재가 발생하는 등 세 차례의 화재를 당하였다. 역시 경복궁 중건공사 때 다시 세워졌으나 1918년 창덕궁의 침전이 소실되자 그 목재를 조달한다는 목적으로 헐렸으며 1920년 창덕궁의 희정당을 짓는 데 사용되었다. 지금의 강녕전은 1995년에 다시 지어진 것이다. 강녕전의 공간 구성은 가운데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온돌방을 두고 전면에 넓은 월대를 꾸민 것이 특징이다. 이 월대는 의례를 행하는 공간으로 내진연, 외진연 등 많은 사람이 참여하는 잔치 때에는 주변에 보계(補階)를 설치하여 보조하기도 하였다. (출처 ; 문화재청)
히잡을 쓰고 한복을 입은 아랍계 여인들..
경회루..
【경회루】
경회루는 침전영역 서쪽에 위치한 연못 안에 조성된 누각이다. 외국사신의 접대나 임금과 신하 사이에 벌어지는 연회장소로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경복궁 창건 당시는 작은 누각이었던 것을 태종 12년(1412)에 크게 연못을 파고 지금과 같은 규모로 만들었다. 그 후 성종 때 건물이 기울어져 다시 고쳐 지었는데 돌기둥에 용과 꽃 장식을 하여 화려하게 치장하고, 연산군 때에는 연못 안 인공섬에 만세산을 조성하고, 그곳에 월궁을 꾸며 조화를 장식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화재로 모두 소실되었다. 경회루건물은 없어졌지만, 경복궁이 중건될 때까지 연못은 나라에 가뭄이 들 때마다 기우제를 지내는 곳으로 이용되었다.
현재의 경회루는 고종 4년(1867)에 중건된 것이다. 다시 지어진 경복궁의 많은 건물들이 여러 가지 이유로 소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경회루는 중건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여 왔다. 연못 주변에는 담장이 둘러싸여 있었는데, 일제강점기에 동·서·남·북의 담장이 철거되었으며, 2004년~2005년에 각각 북쪽과 동쪽 담장이 복원되었다. 경회루로 가는 3개의 돌다리에는 벽사의 의미를 가진 동물상이 새겨진 엄지기둥을 놓았다. (출처 : 문화재청)
수양버들과 경회루..
경회루 안의 관람은 사전에 예약을 한 사람들만 입장이 가능합니다..
수정전 앞에 있는 멋진 소나무..
조하를 거행하고 외국사신을 맞이하는 국가의 중대한 의식이 거행되었던 근정전..
【근정전】(勤政殿-勤政 : 정치를 부지런히 함)
근정전은 경복궁의 정전(正殿)이다. 왕이 신하들의 조하(朝賀:조회의식)를 받거나 공식적인 대례(大禮) 또는 사신을 맞이하던 곳이다. 정전인 근정전은 궁궐 내에서도 가장 규모가 크고 격식을 갖춘 건물로 면적도 가장 넓게 차지하고 있다. 중층으로 된 근정전 건물은 2단의 높은 월대(月臺) 위에 자리하고 있으며 전면에는 중요 행사를 치를 수 있는 넓은 마당이 있고, 그 둘레를 행각이 감싸고 있다. (출처 ; 문화재청)
영제교 남쪽에서 바라본 북악을 등지고 있는 ' 왕과 문무백관이 조참의식(소조회)을 하였던' 근정문..
【근정문】(勤政門 - 勤政 : 정치를 부지런히 함)
근정문에서는 왕과 문무백관이 조참의식(소조회)을 행하였다. 또는 즉위식이 거행되기도 하였는데, 단종은 근정문에서 즉위를 한 첫 번째 왕이다. 근정문에서 의례를 거행할 때는 영제교의 북쪽으로 정 2품 이상이 서고, 남쪽으로는 정 3품 이하가 자리를 잡았다. (출처 ; 문화재청)
많은 사람들이 줄을 서서 입장하고 있는 흥례문..
【홍례문】(興禮門 - 興禮 : 예를 일으킨다)
일곽의 가운데에는 백악으로부터 흘러 내려온 물 즉, 금천이 서에서 동으로 흐르도록 한 어구가 있고, 어구의 중앙에 영제교(永濟橋)라는 다리가 놓여 있다. 어구(御溝)는 경복궁뿐만 아니라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 덕수궁 등에도 있으며, 고려 궁궐, 중국의 궁궐, 베트남의 궁궐에도 있어 동아시아 지역의 궁궐들이 반드시 갖추어야 할 부분이었음을 알 수 있다. 어구와 영제교는 근정문(勤政門 - 勤政 : 정치를 부지런히 함)에서 이루어지는 왕과 신하들의 조회 시에 신하들이 도열할 위치를 구별하는 경계이기도 했다. (출처 ; 문화재청)
근위병 교대식을 위해 흥례문으로 이동하는 병사들..
동십자각..
동십자각은 궁성의 동남쪽 모서리에 서있는 각루(角樓)이다. 궁성 담장이 헐리면서 현재와 같이 길 한가운데 서있게 되었다. 동십자각은 서십자각과 함께 궁성 전면 양 모서리에 궁궐 안팎을 감시할 수 있다(출처 :문화재청)
미군들의 숙소였다가 시민의 품으로 돌아온 송현녹지광장을 지나 창덕궁으로 이동을 합니다..
다음은 창덕궁과 창경궁입니다..
'풍경(축제, 볼거리 등) > 풍경(서울, 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춘선 숲길(24.11. 6) (73) | 2024.11.18 |
---|---|
창덕궁과 창경궁(24.11.2) 탐방 (73) | 2024.11.17 |
광릉 숲길 트레킹 & 한강 일몰(24.10.23) (113) | 2024.11.03 |
홍유릉 탐방(24.10.16) (120) | 2024.10.26 |
제20회 국방일보 전우마라톤 대회(24.10. 6(일)) (109) | 202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