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동기들과 한달에 한번 산행을 하는데 금년 2월에는 도봉산 우이암을 5명이 함께 하였다..우이암은 대학 다닐 때 그리고 불수사도북 종주 산행을 할 때 지나 갔지만 정말 오랜만에 다시 산행을 하였다. 그동안 3명이 함께 했었는데 이번에 2명이 합류하여 더욱 알찬 산행이 되었고 즐거운 산행을 할 수 있었다. 산행은 도봉산역 ~ 성불사 ~ 우이암 ~ 원통사 ~ 방학동으로 진행하였으며, 아직 북서면에 눈이 녹지 않아 다소 미끄러운 구간이 있었지만 도봉산의 멋진 풍경을 보면서 산행을 즐길 수 있었다.
도봉산 우이암..
【우이암(牛耳岩)】
우이암의 명칭은 봉우리의 모습이 소의 귀를 닮았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본래는 바위의 모습이 부처를 향해 기도하는 관음보살을 닮았다 하여 관음봉(觀音峰)이라고도 하고, 사모관대를 쓰고 있는 모습을 닮았다 하여 사모봉이라 부르기도 한다. 도봉산에 분포하는 많은 바위들이 호랑이·코끼리·두꺼비·코뿔소·학 등 각종 동물의 형상을 하고 관음봉을 향하여 머리를 조아리는 듯하다고 하여 불교에서는 우이암을 관음성지(觀音聖地)라 여기기도 한다.
【출처 :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도봉서원터를 지나고..
서원교를 지나 우이암으로 갑니다..
구봉사를 지나고..
천축사도 지나고(도봉산에 참으로 절이 많이 있습니다)..
우이암 1.5km 지점입니다..
쉼터에 고양이들이 주인입니다..
도봉산 우측에서 선인봉, 자운봉, 신선대, 뜀바위, 주봉이 보이고..
샛길 출입통제를 하고 있습니다..
드디어 우이암이 제대로 보이고..
우이암 가는 길에서 본 도봉산으로 칼바위, 주봉, 뜀바위, 자운봉, 선인봉 등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습니다..
오봉도 선명하게 보이고..
우이암을 향하여..
난간에서 본 모습으로 오봉도 멋지게 보입니다..
철다리 난간에서 본 도봉산의 모습(칼바위, 주봉, 자운봉, 만장봉, 선인봉)
우이암 능선에서 본 도봉산의 멋진 모습으로 오봉에서 선인봉까지 파노라마로 펼쳐져 있습니다..
북한산 백운대도 보이고..
조망처에서 인증을 합니다..
우이암의 아름다운 모습..
조망을 하고..
우이암이 정말 멋집니다..
통천문을 지나고..
우이암에서 본 도봉산 모습..
밑에서 본 우이암의 모습..
노면이 얼어 있어 조심 하면서 천천히 하산을 합니다..
원통사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북서면은 눈이 그대로 쌓여있고 노면이 미끄러워 조심해서 진행합니다..
원통사로 내려가는 길의 경사가 급합니다..
원통사의 범종루가 툭 튀어나온 것이 멋집니다..
우이암을 배경으로 한 원통사 경내..
우이암을 당겨보니 거시기(?)합니다..
원통사 범종각..
우이암을 다시 한 번 잡아봅니다..
우이암에서는 서울의 강북방면의 멋진 조망이 펼쳐져 있고..
방학동 하산길에서 본 우이암의 모습..
장수천 방향으로 내려갑니다..
하산길은 부드럽습니다..
장수산악회 체육부..
장수산악회 체육부 앞에 있는 불상..
주말농장이 매우 넓습니다..
북한산둘레길 & 서울둘레길과 만나고..
방학동 전형필 가옥..
신방학중학교로 내려와 방학역 방향을 가는 도로가에 있는 추어탕집에서 추어탕(만원)과 추어튀김(만오천원)&소맥으로 즐거운 시간을 가집니다..
'서울,경기지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봉산 신선대(25. 3.13) (160) | 2025.03.23 |
---|---|
국방동우회 등산팀 '25년 시산제(24. 2.26) (155) | 2025.03.05 |
겨울 도봉산(25. 1. 9) (239) | 2025.01.10 |
계양산(25. 1. 4) (156) | 2025.01.07 |
대모산, 구룡산(24.12.14) (185)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