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일본 북알프스
풍경(축제, 볼거리 등)/풍경(서울, 경기)

철종외가. 고려궁지. 용흥궁. 성공회성당. 연미정 등 견학(21.10.7)

by 산사랑 1 2021. 10. 22.
반응형

초지진, 광성보, 덕진진을 구경한  후 철종 외가, 고려궁지, 용흥궁, 성공회 성당, 연미정 등을 둘러보았다..

 

철종 외가..

철종외가

조선 철종 4년 (1853)에 지어진 것으로 철종임금의 외숙인 염보길이 살았던 집이다. 철종 외가는 선원면 냉정리 264번지에 자리 잡고 있으며 문화재자료 제8호로 지정되어 있다. 건축양식은 전체적으로 경기지역 사대부 가옥 형식을 따르고 있지만 안채와 사랑채를 일자로 곧장 연결시켜 화장담으로 간단하게 구획한 것이 특징이다. 당시 일반 사대부의 웅장한 집의 규모와는 달리 법도에 맞도록 고졸하게 지은 집이다.(출차: 디음 백과사전)

 

철종은 사도세자의 직계 후손으로 철종의 아버지 은원군은 사도세자 사후 제주도로 유배되었다가 한양으로 왔다. 그 후 은원군은 부인과 며느리가 천주교 세례를 받은 것을 방치했다는 이유로 결국 사약을 받고 죽었다. 철종은 헌종이 1849년 죽은 후 19세 때 조선의 제25대 왕이 되었다.

 

철종은 왕이 되기 전까지는 집안이 역모에 연루되어 왕족의 예우를 박탈당하여 평민으로 초가삼간에서 살았다. 이 시절에  혼인을 약속한 양순이라는 처녀가 있었는데 왕이 되고 나서도 그리워했다. 철종은 서울에서 왕족으로 태어났으나 강화로 유배되어 평민으로 살다가 왕이 된 후 14년 6개월 만에 33세의 젊은 나이로 짧은 생을 마감했다.

 

안채와 사랑채가 일자로 곧장 연결시켜 화장담으로 간단하게 구획한 것이 특징이다

철종 외가를 구경하고 강화 별장으로 이동하여 수제비 라면으로 점심식사를 하고..

숙소 앞 저수지..

점심식사 후 첫 번째로 방문한 고려궁지로 고려궁의 유적과 행궁의 유적은 보이지 않고 

강화유수부의 동헌인 명위헌과 이방청 그리고 종각만 서 있으며 최근에 외규장각이 복원되었다... 

강화 유수부 동헌..

강화유수부 동헌
조선시대 관아의 건물로서 강화 지방의 중심 업무를 보던 동헌으로 영조 45년(1769)에 유수 황경원이 현윤관이라 이름을 붙였으나 현재는 명위헌이란 현판이 걸려있으며, 글씨는 당시의 명필이며 학자인 백하 윤순이 썼다. 강화유수부는 인조가 1627년 정묘호란으로 강화로 피신했다가 돌아온 뒤 설치되었다. 강화의 유수는 종 2품의 당상관으로 왕(王)의 신임을 받는 중신이 임명되는 것이 보통인데 진무사도 겸했다. 건물은 겹처마에 단층 팔작지붕이며, 이중의 장대석 기단 위에 네모골의 주처석을 놓고 네모로 다듬은 기둥을 세웠다.

 

외규장각,,

1866년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에 의해 이곳의 자료  의궤(儀軌)를 비롯한 340권의 책과 문서 및 은궤 수천 냥이 약탈되었다. 당시 프랑스군이 약탈해간 의궤 297권은 현재 파리 국립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 프랑스의 미테랑 대통령이 1993년 TGB의 고속철도 수주를 위해 방한하면서,  의궤상 1권을 반환하며 프랑스 외규장각 도서의 전체 반환을 약속했지만 양국이 합의점을 찾지 못했었다. 이후 2010년 11월, 외규장각 도서를 5년마다 갱신 대여하는 것으로 합의하였고, 2011년 5월 환수가 완료되었다.

강화부 종각에 동종이 있으나 이는 새로 만든 종이며 진짜 종은 균열이 생겨 역사박물관에 진열되어 있습니다.. 

이방청..

고려궁지 둘러본 후 인근에 있는 철종의 잠저인 용흥궁으로 이동합니다..

【용흥궁】

조선 제25대 왕인 철종(재위 1849∼1863)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 집으로 철종이 왕위에 오르자 강화유수 정기세가 건물을 새로 짓고 용흥궁이라 이름을 붙였다.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 집이고,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다. 용흥궁은 청덕궁의 연경당, 낙선재와 같이 살림집의 유형을 따라 지어져 소박하고 순수한 느낌이 든다. 경내에는 철종이 살았던 옛 집임을 표시하는 비석과 비각이 있다. [출처 : Daum백과] 용흥궁 –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용흥궁은 원래 초가였는데 철종 4년 1853년 강화 유수 정기세가 지금의 집을 지었다고 한다(안채)..

사랑채 뒤에 우물이 있네요..

용흥궁을 본 후 들렀던 성공회 강화성당..

【성공회 강화성당】

강화읍 내 성공회(聖公會) 강화성당 터는 ‘구원의 방주’ 형국이다. 한옥 건물은 자연스럽게 배의 선실이 된다. 터키 아라라트(Ararat) 산 구원의 방주가 떠오른다. 개화기 때, 성공회 초기 선교사들이 이곳 강화도에 한옥 성당을 세운 건 영국 북부 스코틀랜드 이오나(Iona) 섬처럼 신앙의 교두보로 삼으려는 뜻에서였다.

 

언덕배기가 일어서는 서남쪽 초입, 뱃머리쯤 해당되는 곳에 솟을대문이 서 있다. 한국 전통 건축양식의 외삼문이다. 절의 일주문에 해당한다. 계단을 오른다. 외삼문 대문 중앙에 태극문양을 배경으로 십자가가 그려져 있다. 문을 지나면 내삼문이 나타난다. 절의 천왕문에 해당하는데 종루(鐘樓)를 겸했다. 범종과 흡사하다. 당좌(撞座, 종을 치는 부위)의 돋을새김 십자가 문양이 다를 뿐이다. 애초 영국에서 들여온 종은 1943년 태평양전쟁 당시 일제가 정문 계단 철재 난간과 공출해갔다. 지금의 종은 1989년 다시 만든 것이다. 조금 전 지나쳐온 철재 난간은 2010년 일본성공회 측에서 한일 양국의 화해와 평화를 위해 봉헌했다고 한다.

[출처 : Daum백과] 성공회 강화성당

 

이곳은 1894년 한국 최초의 해군사관학교인 통제영 학당 군사교관 콜웰(W. H. Callwell) 대위의 관사가 있었던 땅으로

건물 측면과 뒷면의 아치형 출입문 4개는 영국에서 가지고 왔다고 한다.

한국 전통 건축양식과 바실리카 양식을 혼합해 지은 성당 내부로

백두산에서 뗏목으로 엮어온 목재로 지었다고 하며 경복궁 공사에 참여했던 대궐 목수가 건축을 맡았다...

성당 뒤편에 있는 건물로 사제관인 것 같습니다..

절의 천왕문에 해당하는데 종루(鐘樓)를 겸했다. 범종과 흡사하다. 당좌(撞座, 종을 치는 부위)의 돋을새김 십자가 문양이 다를 뿐이다.

성공회 성당 앞에 있는 직조기..

'20. 7.18일 탈북민이 월북한 배수로로 현재는 그물망을 설치하였더군요..

한국 정착 3년 만에 다시 북한으로 넘어간 탈북민 김모(24) 씨의 '월북 루트'가 인천 강화군 연미정 인근 배수로인 것으로 드러났다. 김준락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28일 "군은 (인천 강화읍 월미곳에 있는) 연미정 인근 배수로를 통해서 월북했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월북한 김씨는 2017년 귀순 전 개성시 개풍군 해평리에서 거주하며 농장원으로 일했으며 재입북 전 동료 탈북민 성폭력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었다. 김씨는 지난 17일 지인인 탈북민 유튜버의 차량을 이용해 강화도로 이동했고, 다음날 오전 2시 20분쯤 택시를 타고 월곳리 일대로 간 뒤 하차한 것으로 파악됐다. 군은 월곳리 일대에서 김씨 이름이 적힌 소지품이 들어있는 가방도 발견했다. 강화도 북동쪽에 있는 월곶리는 가장 가까운 북한 해안과 직선거리로 3㎞ 가량 떨어져 있는 곳이다.(출처 : 한국일보 등에서 발췌)

 

유도 사이로 지나갔을 것이라고 하는데 일부 다른 의견들이 있더군요..

월곳진과 조해루..

【월곶진과 조해루】

병자호란 이후 북방민족의 침입을 대비하여 국방상 매우 중요한 요충지로 인식된 강화도에 군사조직으로 5진 7보가 설치되었고 방어시설로는 강화산성, 외성, 53 돈대가 숙종대에 설치되었다. 그중의월곶진은 조강(한강과 임진강이 합쳐진 강)이 서해로 나가면서 강화해협인 염하와 서해로 나누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문수산성과 마주하고 있는 곳에 위치한 월곶진은 다른 진과 보보다는 높은 종 3품인 첨사가 담당하는 군사조직이 설치되어 있었으며 산하에 옥창돈, 월곶돈, 휴함돈, 적북돈을 두었다. 월곶진은 한강과 임진강으로 가는 배가 썰물일 때 만조가 되기까지 닻을 내리고 기다렸던 곳이며, 한양에서 배를 이용하여 강화로 올 때 이곳에서 내려 검문을 받고 강화 동문을 거쳐서 강화로 들어가는 중요한 교통로의 하나이기도 하였다.

 

조해루(潮海樓)는 숙종 5년(1679)에 지어져 강화로 들어오는 사람들은 검문하는 검문소 역할을 담당했던 곳이다. 복원된 조해루는 월곶돈대와 연결되고 남쪽의 외성과는 연결할 수 없는 상태이다. 홍예식 성문을 만들고 그 위에 누각을 지은 전형적인 성문 건축물이다. (출처 : 한국 NGO신문)

 

* 갑곶돈대에서 적북돈대에 이르기까지는 7곳에 돈대가 있었으나 지금은 접근이 가능한 곳은 월곶돈대뿐이다. 강화외성의 출입문인 6개의 문루(안해루, 공조루, 참경루, 진해루, 북파루, 조해루) 중에서 광성보의 안해루, 덕진진의 공조루, 용진진의 참경루는 복원을 마쳤고, 월곳진의 조해루가 2011년에 복원되었고 아직 갑곶진의 진해루와 북파루는 복원되지 않는 상태이다.

 

 

황형택지와 월곶돈대..

【황형택지】

조해루에서 월곳돈대로 공터에 ‘莊武公黃衡將軍宅址碑’라고 쓰인 비 하나가 서 있다. 사각형의 난간으로 두르고 비를 보호하고 있다. 비가 세워진 이곳은 삼포왜란 당시 왜적을 무찌르고 1512년 함경도 지방 야인(野人)들의 반란을 진압하는 등 국가에 공로가 많은 조선 중기의 무신인 황형(1459~1520) 장군에게 조정에서 땅을 하사하였다고 알리는 비이다.(출처 : 한국 NGO신문)

 

【월곶돈대】

월곶돈대는 외적의 침입이나 척후 활동을 사전에 방어하고 관찰할 목적으로 해안지역에 돌로 쌓은 소규모 방어시설물이다. 특히 월곶돈대는 강화도로 들어오는 사람들을 일일이 검색을 함으로써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는 돈대이다. 또한 한강이나 임진강을 따라 거슬로 올라가는 세곡선이나 상선이 나루나 포구에서 조류를 기다리는데, 주로 김포의 강령포, 조강포, 마근포 등을 많이 이용하였고, 월곶돈대 앞은 서해에서 들어오는 배가 닻을 내리고 조류를 기다렸던 곳이었다. 타원형에 가까운 돈대는 홍예문을 두었으며 조강과 염하, 서해를 조망하는 최적의 조건을 갖춘 관방시설이다. 네모진 돌을 다듬어 성벽을 쌓고 위에는 여장을 설치하고 한 개의 총안을 두었다. 바다 쪽으로 3곳에 포를 쏠 수 있는 포구(砲口)를 내었다.

 

월곶돈대의 가장 높은 위치에는 ‘연미정’이라는 정자 한 채가 있다. 정자 뒤에는 500살이 넘는 느티나무가 2그루가 자라고(한그루는 2019.9월 태풍 링링에 의거 부러졌음), 건물 기단 옆에는 석비가 한 기 있다. 이 정자는 최초 건립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고려시대에 지어졌다고 하며, 1244년(고종 31)에 시랑 이종주(李宗胄)에게 명하여 구재생도(九齋生徒)를 이곳에 모아놓고 하과(夏課 : 여름철에 50일 동안 절에 들어가 공부하던 일)를 시켜 55명을 뽑았다는 기록이 있다.(출처 : 한국 NGO신문)

 

느티나무는 2019년 발생한 태풍 링링에 의해 부러져 현재는 그루터기만 남아 있네요..

앞에 보이는 섬이 유도로 '96년 대홍수 때 떠내려온 황소를 5개월 만에 구조한 비무장지대 섬..

【유도(留島)】

연미정에서 손에 잡힐 듯 보이는 섬이 있으니, 머무르섬, 바로 유도(留島)다. 머무르섬(유도)은 육지에서 500여 m 떨어져 한강하구 비무장지대 내에 위치한 무인도로, 월곶면 보구곶리 산 1번지와 2번지 두필지로 되어 있다. 이 섬은 까마득한 옛날 홍수에 떠내려오다가 이곳에 머물렀다는 전설과 함께 '머무른섬→머무르섬'이 됐다고 전해온다. '머무르'가 변음(變音)되어 머머리, 머머루 등으로 부르기도 하고 유도(留島), 사도(巳島)라는 한자 지명이 사용되기도 한다. 지금은 무인도이지만 6·25 한국전쟁 이전에는 농가가 두 채 있었고 농사도 지었다고 한다.

 

1996년 대홍수 때 황소 한 마리가 떠내려와 이곳 유도에 고립되었다. 표류 5개월, 하루하루 말라가는 소를 우리 해병대가 데려와 '평화의 소'라고 이름을 지었다. 이 소는 제주로 장가가 천수를 다했다. (출처 : 오마이 뉴스)

 

이곳 끝 지점이 북한과 가장 가깝기에 그곳까지 가서 월북했다는 설도 있음..

느티나무가 하나뿐인 현재의 연미정..

【연미정】

월곶돈대의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연미정’은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4호.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1976년 강화 중요 국방유적 복원 정화사업으로 현재와 같이 복원하였다. 월곶리는 한강과 임진강이 합류하는 지점으로서 물길의 하나는 서해로, 또 하나는 갑곶(甲串)의 앞을 지나 인천 쪽으로 흐르는데, 그 모양이 제비꼬리와 같다 하여 정자 이름을 연미정이라 지었다고 전한다. 이곳은 강화 십경의 하나로 손꼽히는 자리로서 절경을 이루고 있으며, 연미정에 오르면 북으로 개풍군과 파주시, 동으로 김포시가, 서쪽으로 강화 들판과 강화산성이, 남으로 염하와 문수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옛날에는 서해로부터 서울로 가는 배가 이 정자 밑에 닻을 내려 조류(潮流)를 기다려 한강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정자는 높다란 주초석(柱礎石) 위에 세워져 있으며, 정자 양쪽에는 5백 년 묵은 느티나무 두 그루가 웅장한 자태로 정취를 더해주고 있었으나 2019년 제13호 태풍(9.7일 한반도 상륙) 태풍 링링에 의해 한그루가 안타깝게 부러졌다. 예부터 느티나무는 장수목으로 수명이 길고 수형이 단정하며 수관 폭이 넓고,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주는 정자나무이기도 하다. 정자는 고려시대에 지어졌다고 하며, 1244년(고종 31)에 시랑 이종주(李宗胄)에게 명하여 구재생도(九齋生徒)를 이곳에 모아놓고 하과(夏課: 여름철에 50일 동안 절에 들어가 공부하던 일)를 시켜 55명을 뽑았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중종 5년(1510) 삼포왜란 때 전라좌도 방어사로 큰 공을 세운 황형(黃衡)에게 정자를 하사하였으며, 연미정 기단석 좌측에 비 하나가 있는데 이곳에는 ‘莊武公黃衡將軍宅址’라고 쓰여 있다. 현재도 황씨문중의 소유로 되어 있다. 연미정은 역사적 현장이기도 하다. 1627년 1월, 후금 군사 3만여 명이 압록강을 넘어 조선을 침입한 정묘호란 당시 화의가 성립한 곳이 연미정이다. 이곳은 민간인 통제구역 이북에 속하여 있기 때문에 일반인의 출입에 제한이 있었으나 현재 민간인 통제구역에서 해제되어 일반인들이 자유롭게 관람하고 있다.(출처 : 다음 백과를 중심으로 재조정)

 

느티나무가 두 개 있었을 때의 연미정(함께 여행한 지인이 보내준 작품)

누가 누가 높이 뛰나..

황금들판이 펼쳐져 있고..

연미정을 끝으로 첫날 일정을 마치고 강화 숙소로 이동하여 삼겹살 등으로 만찬을 즐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