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일본 북알프스
풍경(축제, 볼거리 등)/풍경(서울, 경기)

석모도, 월선포구, 강화읍성(21.10. 8)

by 산사랑 1 2021. 10. 24.
반응형

강화여행 2일 차는 석모도와 교동도를 둘러볼 계획으로 교동도 대룡시장이 10시 이후에 가는 것이 좋아 첫 번째로 석모도로 향했다..

 

강화 숙소..

돌담이 아름다운 숙소와 숙소 앞 저수지 전경..

석모도 가는 길에 잠시 들러 본 서해 황금들녘..

석모대교입니다..

석모대교 지나면 나타나는 함초..

【함초】

함초라는 이름은 세포 안에 소금기를 머금고 있어 짠맛이 나는 풀이라는 의미로 붙여졌다. 갯벌의 생태적 가치를 높여주는 식물로 주목받고 있다. 일본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명아주과에 속하는 다육질 식물. 학명은 Salicornia europaea L.이다. 통통마디는 한해살이풀로서 함초, 염각초, 해봉자, 해연자라고도 불린다.

 

높이는 약 10~30cm 정도이다. 똑바로 서서 자라는 줄기는 마디가 많고, 마디마다 퉁퉁한 가지가 좌우로 갈라진다. 잎은 없고 꽃은 8~9월에 가지 끝에 달린다. 열매는 납작한 달걀 모양으로 화피에 싸여 있다. 씨앗은 타원형으로 검은색이다. 소금기가 있고 물이 잘 드나들며 비교적 땅이 잘 굳는 갯벌에서 자란다. 지중해 지방이 원산지로 주로 바닷가에서 자라며, 국내의 태안반도와 순천만 습지에서 많이 자란다. 식용으로 이용된다. 줄기를 잘라 국을 끓이거나 갈아서 밀가루에 함께 반죽하여 전을 부쳐서 먹기도 한다.

 

함초에는 콜린(Choline)과 비테인(Betain), 식이섬유 및 미네랄 등이 포함돼 간의 독소 해소와 지방간 치유, 면역기능 증강, 변비와 숙변 해소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출처 : 다음 백과)

 

함초 사이로 난 길을 따라 걸어가는 뒷모습이 정겹습니다..

함초는 일식집에서도 나오는 데 양이 아주 적게 나오더군요..

함초를 본 후 민머루해변으로 이동하였습니다..

민머루 해수욕장

민머루 해수욕장이 개발되기 전에는 머루나무가 많았다고 하여 민머루 해수욕장이라고 이름 하였다. 지금은 개발로 인해 해변에 가득하던 머루나무와 해당화는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여름이 지남에 따라 바다에는 인적이 거의 없어 조금은 쓸쓸한 것 같습니다..

바다의 주인은 따로 있네요/먹이를 먹으면서 빠르게 이동을 합니다..

해안을 따라 걸어봅니다..

아이들이 무엇인가 잡으려고 하네요..

훈맹정음을 만든 맹인들의 세종대왕인 송암 박두성 선생 생가를 복원하였네요..

박두성

박두성(朴斗星, 1888 4 26 ~ 1963 8 25)은 일제 강점기의 대한민국의 교육자로, 본명은 박두현(朴斗鉉)이다. 본관은 무안. 자는 두성(斗星), 호는 송암(松庵)이며, 경기도 교동부 동면 상방리 월정(현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상용리 달우물마을)출신이다. 일제 강점기에 박두성은 시각장애인을 가르치는 교사로 활동했다. 박두성은 최초의 한국 점자 '훈맹정음'을 만들었다. 점자는 시각장애인이 손가락으로 더듬어 읽는 특수한 문자다.

 

한글점자는 1898, 평양에서 미국 선교사에 44 점식 점자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송암 박두성 선생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진 한글에는 66 점식 점자가 더욱 적합하다고 생각하였고, 오랜 연구 끝에 최초의 한국점자, <훈맹정음>을 창안하였다.

박두성 선생 상가터로 교회입니다..

예전 배를 타고 다닐 때 창후리 선착장에서  교동도 들어가는 선착장인 월선포구로 교동도 여행의 출발점이었지요..

교동대교가 보이고..

월선포구는 사진 속 추억의 한 장면으로 되었네요..

놀래미가 잡히네요..

교동읍성 남문입니다..

교동읍성은 조선 인조 7년(1629년) 경기수영(京畿水營)을 설치할 때 돌로 쌓은 읍성으로 둘레 305m 높이는 약 2.4m로 동남북 세 곳에 성문을 설치했는데, 현재 남문만 남아 있다. 동문과 북문의 유실 연대는 명확하지 않으며, 남문인 유랑루는 1921년 폭풍으로 무너져 반원 형태의 홍예문이 남아 있고 성문 앞에는 거북상이 버티고 앉아 있다.

 

읍성 안으로 들어가니 개발을 제한해서 그런지 낡은 건물들이 방치되어 있더군요..   

씀바귀와 달래 등 나물을 채취하고..

밀레의 이삭줍기하는 여인들의 뒷모습을 닮았네요..

교동읍성을 떠나 60 ~ 70년대의 잃어버린 추억을 찾아 대룡시장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