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일본 북알프스
일반산 산행기/서울,경기

행주산성(24.11.30)과 역사공원 탐방

by 산사랑 1 2024. 12. 7.
반응형

건강셀프등산회 제967차 산행은 행주산성이 추진되었다. 트레킹은 경의중앙선 능곡역 1번 출구  ~ 행주나루터 ~ 산성역사공원 ~ 수변누리길 ~ 덕양산 정상 ~ 행주산성입구의 약 10.7km / 3시간이 소요되었다. 행주산성은 1593년 임진왜란 당시 3대 승첩지의 하나로 권율 장군이 일본군을 크게 격파한 곳이다. 현재 성안에는 1603년에 세운 행주대첩비와 1963년에 세운 대첩비가 있다. 1970년에 대대적인 정화 작업을 벌려 권율을 모시는 충장사를 건립하였다.

 

1602년에 건립한 행주대첩비와 1963년에 세운 행주대첩비..

【행주산성】

덕양산 정상에 축조된 행주산성(사적 제56호)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과 승명을 포함한 2천3백명으로 왜군 3만여 명을 크게 물리친 임진왜란 3대첩 중 하나인 행주대첩이 일어났던 곳이다.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 순찰사로 있던 권율 장군은 이 터에서 3만 왜군을 막아내고 그 여세를 몰아 수원 독산성에 포진하여 서울을 탈환하고자 경기, 충청, 전라 3도의 총 지휘관이 되어 선조 26년(1593) 2월 11일 승장 처영이 이끄는 승군을 포함한 장병 만여 명을 거느리고 행주산성에 진주하였다. 이 싸움에서는 우리나라의 전쟁 역사상 처음으로 '재주머니 던지기'라는 전법이 쓰였다. 아낙네들은 긴치마를 잘라 짧게 덧치마를 만들어 입고는 치마폭에 돌을 주워 담아 싸움을 거들었는데, 행주치마라는 이름이 바로 여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정확한 축성연대와 목적은 알 수 없으나, 성 안에서 백제시대의 기와 조각과 토기 등 유물이 많이 나와 아마도 백제 때 처음 축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행주산성 내에는 권율 장군의 영정을 모셔놓은 충장사가 자리한다. 원래는 행주나루터 안마을에 정면 3칸, 측면 1칸의 규모로 행주 기공사가 있었으나 6.25 전쟁 때 소실되고 1970년 대대적인 행주산성 정화공사 때 이곳에 다시 짓고, 정자와 문을 세워 경역을 조성하였다. 1602년 건립한 행주대첩비가 비각 속에 남아 있으며 1963년에 세운 대첩비도 서 있다. 이 비의 글씨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직접 썼다. 이곳은 자유로가 개통되고 신행주대교가 완공되면서 교통이 편리해져 휴일이면 많은 나들이객들이 찾아온다.(출처 : 다음 백과사전)

 

능곡역에서 행주나루터로 가는 길에 있는 조그만 터널..

행주나루터에는 어선들이 몇 척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행주대교로 앞쪽의 구 행주대교는 다니지 못하도록 중간을 절단한 것 같습니다..

여기는 평화의 길 4-1코스라고 합니다..

행호쉼터 조형물 사이로 방화대교가 보이고..

전국에서 유일하게 배 위에서 3.1 만세운동을 하였다고 합니다..

한강 석양과 어울리는 갈대라고 하는데 개체 수가 많지 않네요..

갈대숲 너머로 방화대교가 보입니다..

행주산성 역사공원입니다..

아직 고운 단풍이 남아 있네요..

군초소로 사용되었다가 주민에게 돌아온 행호정..

행호정에서 본 모습으로 강 건너 개화산이 보입니다..

행주산성 역사누리길의 수변데크길이 새로이 설치 되었네요 / '23.6~'24.11월 / 사업비 36억 원을 들여 길이 750m, 폭 2.2m 완공

행주산성 가는 예전 데크길..

수변누리길이며 이 데크길은 평화의 길 4-1코스(행주산성 ~ 범곶 IC  17.4km / 3시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전의 군 초소..

고양 행주수위관측소..

고양 행주수위관측소에서 계단을 따라 진행합니다..

여기서 행주산성으로 들어갑니다..

진강정이란 정자로 이곳에서는 한강을 비롯하여 서울시의 서북부를 조망하기에 좋은 쉼터..

진강정 위쪽에 있는 덕양정입니다..

덕양정 위쪽에 있는 행주산성의 가장 대표적인 행주대첩비/ 대첩비각 내부에는  1602년에 세운 행주대첩비가 있습니다.. ..

1963년에 세운 행주대첩비..

멋진 소나무도 있고..

행주대첩비에서 본모습으로 멀리 관악산과 월드컵대교 ~ 인천국제공항철도가 보이고..

행주대첩비에서 본모습으로 방화대교, 덕양정, 대첩비각이 한꺼번에 보입니다..

1963년에 세운 행주대첩비 뒷모습..

행주산성의 영상교육관인 충의정입니다..

덕양산 정상입니다..

덕양산 정상에서 본 북한산의 모습..

덕양산 정상에서는 개명산, 노고산, 도봉산, 북한산이 펼쳐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행주대첩의 가장 치열한 전투가 있었던 토성입니다..

우물..

권율장군 영정을 모신 충장사 가는 길..

1970년 문화재 재건 사업으로 건립한 충장사로 권율장군의 영정을 모시고 있습니다..

1593.2.12일 임진왜란 당시 전라감사로 행주산성에서 왜군을 격파한 권율 장군, 그 공으로 도원수가 되어 임진왜란을 지휘..

야간에는 또 다른 멋이 있겠네요..

행주산성 출입문인 대첩문입니다..

행주대첩에서 유명한 일화는 동산동 밥 할머니를 주축으로 조직된 여성 의병부대가 치마에 돌을 날라 무기로 사용하여 크게 이길 수 있었다. 이때부터 여자들의 부엌 치마를 행주치마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트레킹을 마치고 인근에 있는 국수 맛집인 '원조국수' 가게에서 국수 한그릇(7,000원)을 시켜 먹었는데 국물이 시원하고 맛도 좋았지만 양이 거의 양푼 수준이었다. 국수 좋아 하시는 분들은 한 번 가 보시면 후회하지 않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