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봉의산】
춘천 봉의산(301.5m)은 춘천시의 상징이자 진산(鎭山)으로, 시가지 북쪽에 자리 잡고 있다. 상서로운 봉황(鳳凰)이 나래를 펴고 위의(威儀)를 갖춘 모습이라 하여 봉의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산 밑의 죽림동(竹林洞)은 일제강점기 때 이름은 대화정 이정목(大和町二丁目)인데, 1946년 일제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정(町)을 동(洞)으로 고칠 때 봉황새는 대나무 열매를 먹고 산다 하여 대숲(죽림)이 있어야 한다는 뜻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정상부에는 봉수대가 있고 8부 능선에 산의 가파른 지형을 이용하여 축성한 봉의산성(강원특별자치도 기념물 26)이 있는데, 고려시대에 축성하였으며 크기는 길이 1,241.5m, 높이 5∼6m이다. 북쪽 산마루에는 소양강 일대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소양정(昭陽亭: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1)이 있는데, 여러 사료로 추측해 볼 때 삼국시대부터 약 1,500년간 존재해 온 한국 최고(最古)의 정자라고 할 수 있다.
그밖에 산중턱 150m 동쪽 기슭에는 경사면을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파서 만든 석기시대의 동굴유적 혈거유지(穴居遺址:강원특별자치도 기념물 1)가 있다. 춘천 분지 한가운데 자리잡고 있으므로 조망이 좋고 정상 부근에는 체력단련 시설이 있어 시민들의 휴식처로 인기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봉의산 [鳳儀山]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춘천 봉의산 정상..
건강셀프등산회 제 986차 산행은 춘천의 진산인 봉의산이 추진되어 4명이 함께 하였다. 산행은 춘천역 2번 출구 ~ 소양강 스카이 워크 ~ 봉의산 ~ 공지천 ~ 춘천역(10.8km)으로 원점회귀 추진하였다. 소양강에는 스카이 워크가 두 군데 설치되어 있었으며, 소양강처녀 동상을 지나 소양정으로 해서 봉의산 정상으로 올라갔다. 봉의산 정상으로 가는 길에는 진달래가 군데군데 피어 있었으며, 제법 가파른 오르막을 지나 정상에 도착할 수 있었다. 하산은 순의비 방향으로 갔다가 춘천 시청사로 내려왔으며, 하산 후 '원조 우미 닭갈비' 가게에서 닭갈비(1인 15,000원)와 막걸리 한 잔으로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식사 후 공지천 벚꽃을 보았으며, 춘천역에 15:35분 도착하여 약 5시간 5분이 소요된 트레킹을 마무리하였다..
소양강변으로 가는 길에 할미꽃이 심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소양강을 따라 진행합니다/ 춘천대교..
개복숭아꽃도 피어 있고..
일단의 무리가 아랫길을 따라 진행하고 있네요..
반영이 아름답숩니다..
춘천시 의암호 관공선 선착장..
벚꽃이 활짝 피었습니다..
6.25 전쟁 초기 춘천대첩 동상으로 당시 지게로 포탄을 지고 날랐다는 것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춘천대첩 기념 평화공원'에 있는 안내문에 따르면, 춘천대첩은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 인민군이 기습남침을 개시함에 따라 강원 춘천에 주둔하고 있던 국군 제6사단 제7연대가 오전 5시를 기해 비상사태에 돌입하면서 시작됐다. 이 사흘간의 혈투에 동원된 병력은 국군 약 9300명, 인민군 약 3만 8000명이었으며, 군군은 사망/실종 1,507명, 인민군 6,790명 사살 등으로 국군은 낙동강 방어전선을 구축할 수 있는 시간을 벌게 됐다. 6.25 첫 사흘, 우리는 그 전투를 '춘천대첩'이라 부른다.
6.25 참전 용사들을 기리는 무공탑..
월남전 참전 기념탑..
6.25 참전 유공자 기념탑..
벚꽃이 담을 너머 피어 있습니다..
반영이 무척 아름다운 소양강입니다..
종이로 만든 배를 띄우려고 합니다..
소양강 스카이워크를 구경합니다..
【소양강 스카이워크】
강 위로 시원하게 뻗은 소양강스카이워크는 전체 길이가 174m로, 바닥이 투명 강화유리로 된 구간만 무려 156m에 이른다. 교량 끝부분에는 원형광장이 조성되어 있고, 원형광장 중앙은 바닥이 투명유리로 되어있다. 광장 양쪽으로는 날개처럼 뻗은 전망대가 있고, 광장 끝 중앙에 서면 쏘가리 상이 바로 내려다보여 포토존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정해진 시간에 이 조각상에서 분수가 나온다. 일몰 후에는 오색 조명등이 켜져 또 다른 환상적인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소양강스카이워크 입구에는 아기자기한 포토존과 테라스가 마련되어 있고, 바로 옆에는 춘천 랜드마크라 불리는 소양 2교와 소양강처녀상이 자리하고 있다.(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쏘가리 상..
단체인증을 합니다..
제법 많은 사람들이 관람을 합니다..
소양강처녀상..
【소양강처녀상】
소양강처녀상은 소양강스카이워크와 소양 2교 사이에 우뚝 서 있다. 노래 '소양강 처녀'를 상징하는 동상으로 받침돌이 5m, 처녀상이 7m로 총 12m 높이에 이른다. 가까이 다가가서 보면 그 크기가 실감 난다. 수상 데크 위에 선 소양강처녀상은 한 손은 치맛자락을, 다른 한 손은 갈대를 잡고 있으며 옷고름은 바람에 휘날린다. 받침돌에는 노랫말이 적혀 있다. ‘울고 넘는 박달재’, ‘단장의 미아리고개’ 같은 히트곡을 남긴 반야월이 소양강의 아름다운 풍경을 담아 ‘소양강 처녀’의 노랫말을 썼다. (출처 : 대한민국 구석구석)
소양강 처녀상에서 본 스카이워크와 쇼가리 상..
프랭크 포니 브릿지는 1967년 낡은 목조 다리를 콘크리트 교량으로 신축하면서 소양 2교로 명칭이 변경..
프랭크 포니 브릿지는 6.25 전쟁 중이던 지난 1951년, 미국 62건설 공병대대가 현재의 소양 2교 자리에 만들었던 소양 2교의 전신으로, 참전 용사 프랭크 포니 대령의 이름을 따 붙여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프랭크 포니 브릿지는 1967년 낡은 목조 다리를 콘크리트 교량으로 신축하면서 소양 2교로 명칭이 변경됐고, 철거된 교량 현판을 비석으로 옮긴 기념비가 소양 2교 북단에 세워져 있다가 이번에 소양강 처녀상 근처로 이전했습니다.
다리의 명칭은 미 24사단 19 공병단 소속으로 6·25 전쟁에 참전했다가 1950년 11월 청천강 전투에서 전사한
'프랭크 포니('Frank Hartman Forney)' 대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것..
개나리가 활짝 피어 있고..
소양강 비석군..
'소양정' 정자 올라가는 길에 있는 춘천절기 전계심 묘비..
계심은 춘천 관노의 딸로 춘천부사 김처인(金處仁)의 소실이 되었다. 얼마 후 김처인은 발령을 받아 서울로 가고, 계심의 어머니는 계심을 서울 기방에 팔았다. 한량들이 계심의 미색에 반해 범하려 했으나 계심은 김처인의 아기를 갖은 터라 한사코 거절했다. 어느 날 한 불량배가 계심을 강제로 폭행했다. 계심은 김처인에게 편지를 써놓고, 불량배가 만졌던 젖가슴과 머리카락을 칼로 자르고 음독 자결하였다. 김처인의 꿈에 현장이 보였고, 김처인이 꿈에서 본 대로 기방을 찾았으나 이미 계심은 죽은 뒤였다. 김처인은 계심의 시신을 수습하여 봉의산 기슭에 묻고, 주변 사람들과 같이 계심의 절개를 기리고자 1796년 비석을 세워 그를 추모했다. 계심의 묘비 뒷면과 《강원 도지》에 전하는 내용이다.(출처 : 이학주의 춘천이야기에서 발췌)
봄의 전령사 개나리와 진달래가 피어 있고..
소양장 가는 길에 진달래와 개나리가 만개하였습니다..
소양정입니다..
소양정은 삼국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전해지는 국내 최고(最古)의 정자로 소양 1교 인근에 있었지만 6·25 전쟁 때 소실됐고 1966년 봉의산 중턱으로 이전 중건됐다. 소양정에는 중건 당시 기록이 담긴 기문(記文), 한시의 한 갈래인 부(賦) 등 5개의 현판이 걸려 있다.
소양정 뒤로 길이 이어졌으며, 진달래가 곳곳에 피어 있습니다..
춘천의 진산인 봉의산 정상입니다..
순의비 방향으로 하산을 합니다..
춘천 봉의산성..
【춘천 봉의산성春川 鳳儀山城】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소양로 1가 산 1-1 일원으로서 춘천의 진산(鎭山)으로 알려진 봉의산(300.7m)에 있는 고대산성이다. 산성은 현 충원사[구 봉의사] 앞의 계곡에서 서쪽으로 뻗어 남동쪽 봉의산 정상부근 옆 능선을 따라 동쪽으로 길게 뛰어나온 돌출부를 감아 돌며 북쪽을 지나 다시 충원사 앞 계곡에서 마주치는 형태로 상부 능선을 따라 자연지세를 최대한 활용하여 축성된 포곡식 석축산성이다. 성의 전체 길이는 1,284m이며, 평면형태는 부정형이다. 성벽의 높이는 붕괴되어 일정치 않으나 지형지세가 험난함에도 성곽의 규모에 비해 5~6m 정도 다소 높게 축조된 구간도 있다.
춘천봉의산성은 삼국시대 신라 산성의 축성기법을 보여주고 있을 뿐 아니라 산성 내 건물지에서 6세기 후반경의 신라토기들이 출토되고 있는 점으로 보아 춘천의 우두산성(牛頭山城)과 함께 신라의 춘천지역 진출시기에 전략적 주요 거점성으로 운영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당시의 역사적 변동상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유적 중의 하나이다. 또한 고려 후기 거란과 몽고 침입 시에 입보용산성으로 활용된 항전유적지로서 그 의미와 가치는 매우 크다고 하겠다.(출처 :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에서 일부 발췌)
강원도청 어린이집 앞의 벚꽃나무가 엄청납니다..
춘천시청 압의 시민의 종각..
산행을 마무리하고 춘천 명동 닭갈비 골목으로 들어갑니다..
원조 우미 닭갈비 가게에서 닭갈비와 막걸리 한 잔으로 즐거운 시간을 가집니다..
식사를 하고 춘천 공지천교 만개한 벚꽃길을 따라 춘천역까지 진행합니다..
춘천역에서 오늘의 일정을 마무리합니다..
화창한 봄날 지하철을 타고 춘천역에 도착하여 소양강 브릿지와 소양강처녀상을 보고 소양정을 둘러본 후 봉의산에 올랐다. 봉의산 가는 길에는 봄의 전령사인 개나리와 진달래가 만개하여 반겨주었으며, 봉의산 산행을 마치고 춘천의 먹거리 닭갈비와 막걸리 한 잔을 하니 이 보다 즐거울 수가 있을까 싶었다. 식사를 한 후 벚꽃이 만개한 공지천교를 따라 춘천역으로 이동하여 지하철로 서울에 도착하니 백수의 하루가 족할 수밖에 없었다..
'강원,제주지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천 새벽대기산 ~ 까끈봉(24. 8.31) (163) | 2024.09.01 |
---|---|
오대산 선재길(24. 7.24) 트레킹 (146) | 2024.08.03 |
춘천 드름산(23.10.28) (166) | 2023.11.05 |
원주 미륵산(23. 2.18) (123) | 2023.03.02 |
화강 쉬리공원과 철원 노동당사(21. 3. 6) (2) | 2021.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