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동우회 회원들과 함께 25.2.6~8일(3일간) 한라산과 영실 눈꽃산행을 하기 위하여 제주로 출발하였다. 김포공항에서 11:30분 이륙하여 12:30분 제주공항에 도착하여 차를 렌트한 후 '장모식탁'이란 가게에서 장모정식(17,000원/ 전복돌솥밥+간장게장+전복장+간장제육+찌개 1)으로 맛있는 식사를 한 후 제주시 근교에 있는 한라수목원을 구경하였다. 한라수목원을 구경한 후 마트에 들러 저녁거리를 산 후 숙소인 '아뜨네 펜션'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한라수목원..
【한라수목원漢拏樹木園】
한라수목원은 1993년 12월 20일 제주자생식물 유전자원의 수집·증식·보존·관리·전시 및 자원화를 위한 학술적·산업적 연구, 도·시민에게 휴식 공간제공 및 관광자원 활용 등을 목적으로 설립, 개원하였다. 2000년 5월 25일에 환경부지정 서식지외 보전기관 제2호로 지정되었는데, 제1호는 동물 분야였기 때문에 식물 분야에서는 첫 번째로 지정된 곳이다.
한라수목원은 제주시 근교 광이오름과 남조봉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교목원, 관목원, 만목원, 죽림원 등 10개의 주제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 주제원은 교목원과 온실이다. 규모는 20만㎡이고, 1,305종의 수목유전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1,100종 10만여 본의 식물을 전시하고 있는데, 이중 목본류는 500종, 초본류는 600여 종에 이른다. 이 중 제주도 고유수종인 구상나무, 눈향나무, 비자나무 등 790종과 은행나무, 미선나무, 병솔나무 등 제주도에 자생하지 않는 국내외 수종 310종도 전시하고 있다. 특히 제주지역 희귀 및 멸종위기, 특산식물 집중적으로 수집하고 있다.
한라수목원에서는 자연생태체험학습관을 중심으로 주말을 이용하여 제주도의 오름, 습지, 곶자왈, 생태마을 등 여러 지역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희귀식물을 증식하여 한라산국립공원 지역과 희귀식물 자생지 등에 복원하는 활동을 1994년부터 수행하고 있다. 이미 구상나무, 한라구절초, 삼백초, 황근 등 22종류 5만 5천여 본을 자생지에 복원한 바 있다. 이와 함께 한라생태 숲 조성사업, 산림해충의 생물학적 방제사업 등 각종 연구 활동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출처 :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김포공항에서 본 계양산..
하늘에서 본 관악산..
계속된 폭설에 한국의 산하가 눈으로 덮여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제주가 보이고..
제주항입니다..
김포공항에서 이륙하여 1시간후 제주공항에 도착하고..
공항에 도착, 차를 렌트한 후 제주 정식 맛집인 '장모식탁'에서 장모정식(17,000원/ 전복돌솥밥+간장게장+전복장+간장제육+찌개 1)으로 맛있는 식사를 합니다..
장모정식의 주메뉴인 간장제육, 간장게장, 전복장(1인 1개)이 맛깔스럽습니다..
전복돌솥밥과 찌개(해물순두부, 사골우거지탕, 사골곰탕 중 택일)..
식사를 한 후 제주시 근교에 있는 한라수목원을 구경합니다..
한라수목원은 제주시 근교 광이오름과 남조봉 기슭에 자리 잡고 있으며 교목원, 관목원, 만목원, 죽림원 등 10개의 주제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동백이 피어 있습니다..
관목원..
왕대나무..
늘 푸른 대나무와 소나무..
땅에 떨어진 동백꽃들도 예쁜 느낌이 듭니다..
동백 숲길을 걸어 갑니다..
하귤도 많이 달려 있네요..
한라수목원을 구경한 후 마트에 들러 저녁거리를 산 후 숙소인 '아뜨네 펜션'에서 삼겹살, 김치찌개, 오꼬노미야끼를 먹으면서 첫날밤의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 섬에 가고 싶다 > 제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호태우해변(25. 2. 8) (151) | 2025.02.16 |
---|---|
새별오름(25. 2. 7(금) (106) | 2025.02.11 |
식산봉, 용눈이 오름(21. 4.25) (0) | 2021.07.14 |
외돌개와 황우지선녀탕, 쇠소깍(21. 4.24) (0) | 2021.07.12 |
천제연 폭포와 주상절리(21.4.24) (0) | 2021.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