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일본 북알프스

풍경(축제, 볼거리 등)/풍경(서울, 경기)217

수원화성(23.9.29) & 한옥기술 전시관 탐방 화서문의 아름다운 모습.. 【수원 화성(2023. 9. 29일 금요일)】 경기도의 수부(首部) 도시 수원은 조선 제22대 정조 대왕이 생부인 장헌세자(사도세자)를 향한 효심과 웅대한 개혁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세운 계획된 신도시로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침(園寢·왕세자의 산소)을 경기 양주 배봉산에서 지금의 수원 화산으로 옮기면서 축조한 성으로 조선시대 최고 성곽기술이 녹아 있다. 도심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1997년 등재)인 화성(華城. 사적 제3호)이 팔달산을 중심으로 5.7㎞ (면적 37만1145㎡/약 11만 2400평)에 걸쳐 펼쳐져 있는데, 정약용 등 당대 최고 지식인들과의 협업 속에서 완성한 것이다. 화성은 화기 공격과 방어에 대처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는 등 우리나라에서 가장 과학적.. 2023. 10. 7.
서리풀 공원 트레킹(23. 9.17) 서리플 축제가 코로나 이후 처음 열린다는 소식에 서리풀 공원 트레킹을 추진하였다. 트레킹은 방배역 청권사 ~ 서리풀공원 ~ 누애다리 ~ 서리풀축제장 ~ 고속터미널 ~ 반포한강공원에서 폭포수를 보는 것으로 마무리 하였다. 누에다리.. 효령대군 묘소와 사당인 청권사(당일은 문이 닫혀 있어 내부와 묘소는 9.20(수) 별도로 본 모습입니다).. 효령대군 이보 묘역(孝寧大君 李補 墓域) 청권사 청권사는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 있는 조선 태종의 둘째 아들이자 세종의 형인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사당과 묘소이다. 사단법인 청권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묘역 18,736평에 사당 건평 12평을 비롯한 2동의 건물과 묘 1기를 포함해 1972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었다. 청권(淸權)이란 중국 주(周)나.. 2023. 9. 26.
한강 조각전(23. 9.14) 한강 뚝섬 유원지역에서 건국대 방향 쪽으로 한강을 따라 조각들이 전시되어 있어 잠시 둘러보았다. '소리나무' 와 시공 속으로 성동훈.. 박장근 작품 '노크'.. 엠파이어 스테이트빌딩.. 주권의 죽음 김선욱/2019(우).. 순례자 6 김선혁/2023.. '시민의 목소리' 김승영(좌) 2017 / '실크로드' 송필(우) 2023.. '거센 바람과 같이' 백진기(2023).. '월상- 만월' 백진(2023).. '빛' 심병건(2023) '아들의 창' 임승천(2023).. '고리!!' 임승천(2023).. '소리나무' 성동훈(2011).. '시공 속으로' 성동훈(2023).. '월상- 만월' 백진(2023).. Pressed Drawing - 생성 / 남명진.. 별(좌)과 조화로움(우) 최승애(2022).. .. 2023. 9. 21.
남한산 행궁(23. 8.19) 남한산 행궁.. 남한산 행궁 남한산성의 행궁은 광주행궁 또는 남한행궁이라 하였으며, 1624년(인조 2) 9월 서장대(西將臺) 아래쪽에 건립되었다. 남한산성 행궁은 다른 행궁과 달리 종묘와 사직에 해당하는 좌전(左殿)과 우실(右室)을 갖추었다. 행궁의 규모는 상궐(上闕) 73칸, 하궐(下闕) 154칸으로 모두 227칸의 규모이다. 상궐은 행궁의 내행전으로 정면 7칸, 측면 4칸으로 평면적 180.4㎡(55평)이다. 그중 왕의 침전인 상방이 좌우 각각 2칸씩이고, 중앙의 대청이 6칸, 4면의 퇴칸이 18칸으로 모두 28칸이다. 행궁은 한양도성을 임시로 대신할 용도로 건립되었고 병자호란 때 아픈 역사를 품고 있다. 행궁 및 부속시설은 인조 이후 건립된 것으로 19세기 초까지 계속 증축, 보수되었다. 일제 강.. 2023. 8. 27.
부천 백만송이장미원(23. 6.3) 부천 가마산 ~ 소래산 산행 전에 장미가 활짝 피어 있는 부천 백만송이 장미원을 찾았다. 경기 부천시 도당동 ‘부천백만송이장미원’의 수백만 송이 장미꽃이 만개, 장관을 이루고 있다. 부천백만송이장미원은 1만 4,270 ㎡ 면적에 161종 3만 7,000주의 장미가 5월 하순부터 형형색색 아름다운 꽃을 피워 6월 상순(10일경)까지 관람객의 눈과 마음을 즐겁게 한다. 부천백만송이장미원은 상시 개방하며 입장료를 받지 않는다. 장미꽃 개화 시기엔 낮과 밤을 가리지 않고 방문객들이 몰리는데, 공영주차장(공원, 도당어울마당)을 이용할 수 있고, 휴일엔 도당초와 도당고, 부천북고 주차장을 오전 9시~오후 6시까지 임시 개방한다. (출처 : 투어코리아) 원미산 진달래, 도당산 벚꽃, 춘덕산 복숭아꽃으로 대표되는 부천.. 2023. 6. 16.
명성황후 생가(23. 5.27) 명성황후 생가.. 명성황후 생가는 조선 고종(재위 1863∼1907)의 비 명성황후(1851∼1895)가 태어나서 8살 때까지 살던 집이다. 명성황후는 민치록의 딸로 철종 2년(1851)에 태어나 16살에 고종의 왕비가 되었다. 그 후 정치에 참여하여 개화정책을 주도해 나갔으나, 고종 32년(1895) 을미사변 때 일본인에 의해 살해되었다. 능은 청량리에 있었다가 1919년 고종황제가 세상을 떠나자 홍릉으로 함께 합장되었다. 명성황후 생가는 숙종 13년(1687)에 처음 지어진 집으로, 그 당시 건물로는 안채만이 지금까지 남아 보존되고 있다. 1996년에 안채는 수리되었고 행랑채와 사랑채, 별당채 등이 함께 지어져 원래의 모습을 되찾았다. 명성황후 생가는 조선 중기 살림집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집이.. 2023. 6. 13.
여주 신륵사(23. 5. 27) 부처님 오신날 부처님 오신 날 여주 보검산 ~ 마감산 산행전에 신륵사를 들렀다. 신륵사는 대부분 평지나 산에 위치한 여타 절들과는 달리 강변에 위치하고 있다. 인근의 여주 도예단지에서는 여주 도자기 축제도 열리고 있었다. 신록사 전경.. 여주 신륵사(神勒寺)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인 신륵사는 봉미산(鳳尾山) 끝자락, 1500여년의 역사가 숨 쉬고 있는 고찰로서 신라 진평왕 때 원효가 창건하였다고 하나 정확한 것은 알 수 없다. 고려 말인 1376년(우왕 2) 나옹선사 혜근이 머물렀던 곳으로 유명하다고 한다. 무학대사의 스승이었던 나웅선사가 잠시 머물다가 병사하여 다비식을 치렀다는 기록이 아직도 비석에 똑똑히 남아 있다. 한때 200여 칸에 달하는 대찰이었다고 하며, 1472년(조선 성종 .. 2023. 6. 11.
한성도성길(23. 5.23) 삼청공원 ~ 말바위~ 와룡공원 국방동우회 등산팀에서는 한성도성길 창의문 ~ 숙정문 구간 중 삼청공원 ~말바위 ~와룡공원으로 걸었다. 트레킹은 안국역 2번 출구에서 북촌을 통해 삼청공원으로 이동한 후 말바위로 진행하였다. 트레킹을 마친 후 성대 후문에 있는 성북동 누룽지 백숙집에서 누룽지백숙과 메밀전으로 식사를 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말바위 가는 입구에서 인증.. 손병희 선생 집터에서 잠시 구경을 하고.. 북촌한옥마을을 따라 삼청공원으로 진행합니다.. 북촌 한옥 마을에서 인증을 합니다.. 얼마 전에 불이 났었던 인왕산.. 이곳 한옥은 ㅁ자형으로 되어 있네요.. 감사원 어린이집.. 삼청공원 입구입니다.. 말바위 등산로로 진행합니다.. 말바위등산로 입구에서 휴식을 취하고.. 산성길을 따라 진행합니다.. 말바위에ㅔ 도착하고.. 말바.. 2023. 6.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