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일본 북알프스

풍경(축제, 볼거리 등)/풍경(서울, 경기)217

올림픽공원 설경(22.12.20) 수도권에 많은 눈이 내린 날 올림픽공원을 찾아 설경을 볼 수 있었다. 몽촌토성역에서 나오면 만나는 올림픽공원 9경 중 1경인 평화의 문과 꺼지지 않는 불... 서울 올림픽 조형물(세계 평화의 문/ 1988년 7월 건축가 김중업 씨의 설계로 건립된 조형물).. 멋진 소나무들.. 올림픽공원 3경인 몽촌해자입니다.. 물레방아.. 올림픽공원에는 총 218점의 세계적인 조각가들이 직접 제작한 조각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열림(아기라 알렉산드루 칼리네스쿠, 루마니아).... 【열림】(아기라 알렉산드루 칼리네스쿠, 루마니아) 땅이 열리는 것을 분리된 두 개의 형태가 보여주고 있다. 고요한 땅으로부터 하늘로 치솟아 오르는 아치 형태는 정상으로의 도약, 영혼의 해방, 새로운 지평으로의 확장 등을 나타낸다. 올림픽 공원 9.. 2022. 12. 26.
헌인릉 답사와 한강나들이(22. 10. 7) 헌인릉 서초구 헌인릉길에 자리 잡은 헌인릉은 제3대 태종과 원경왕후의 능인 헌릉과 제23대 순조와 순원왕후의 인릉을 합쳐 이름 붙인 곳이다.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우거진 숲이 일품이며, 헌릉에는 아름다운 오리나무 숲에 둘러싸인 습지가 있다. 원래 왕릉 뒤에는 우거진 숲을 계획적으로 조성했고, 특히 봉분 뒤에는 소나무를 심었다. 소나무가 나무 중의 나무로 제왕을 뜻하기 때문이다. 봉분 주변에 심은 떡갈나무는 산불을 막는다. 지대가 낮은 홍살문 주변에는 습지에 강한 오리나무를 심었다. 헌릉이 그런 예다. 오리나무는 장수목으로 옛날에 5리마다 심어놓고 거리 표시를 했다 해서 붙은 이름이다. 낙엽 활엽수의 교목으로 습하고 비옥한 정체수가 있는 토양에서 잘 자란다. 목질이 붉은 것은 오행 중 남측을.. 2022. 12. 11.
애기봉(22. 8.18) 교동도 화개산 모노레일, 고구저수지, 대룡시장 건강셀프등산회 제839차 산행은 주문도, 볼음도 섬 트레킹이 추진되어 산행 전날 애기봉과 강화 화개산 모노레일, 고구저수지, 그리고 대롱시장을 들러보았다.. 애기봉..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1978년에 설치되어 노후화된 기존의 전망대를 철거하고, 그리운 북녘 땅을 최단 거리에서 바라볼 수 있는 새로운 '조강전망대'와 평화·생태·미래의 이야기를 담은 '평화생태전시관'을 품고 새롭게 태어난 김포 최대의 평화관광지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한반도 유일 남·북 공동이용수역(Free-zone)에 위치하여 평화와 화합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장소이자 단절된 역사와 문화를 잇기 위해 흐르는 조강과 같이 한강하구의 평화 의지를 잇는 공간이며, 더불어 한국전쟁 당시 남북이 치열하게 전투를 벌였던 154고지라는 사실이 세계 .. 2022. 8. 25.
서울 어린이대공원 8월 단상 8월 무더운 어느 평일날에도 어린이 공원에는 동물원과 놀이기구도 열어 더위속에서도 많은 어린이들이 더위를 식히고 있더군요.. 분수가 물을 뿜고 많은 어린이들이 구경을 합니다.. 연꽃이 피어 있고.. 분수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네요.. 커다란 지구본이 있습니다.. 배롱나무 꽃도 한창입니다.. 식물원 앞.. 하얀 무궁화꽃.. 놀이기구도 운영을 합니다.. 많은 어린이들이 분수대 앞에 모여서 물이 뿜어져 나오는 것을 구경합니다.. 바다사자.. 물범.. 포범도 더운가 봅니다.. 원숭이들이 다투고 있네요.. 줄행랑을 칩니다.. 백수의 왕자 사자.. 호랑이도 혓바닥을 내밀고.. 조각들.. 2022. 8. 19.
수원 화성 행궁(22. 5.29) 【수원 화성 행궁】 행궁은 정조가 현륭원에 행차할 때 임시 거처로 사용하던 곳으로 그 어느 행궁보다 크고 웅장하였으며 활용도도 높아 경복궁의 '부궁'이라는 말까지 생겨난 곳이다. 화성행궁의 규모는 전체 557칸으로 다른 행궁에 비해 현저히 크며 정조 20년(1796) 화성 축조와 함께 지어졌다. 화성행궁은 정조가 부친인 사도세자의 무덤 현륭원에 행차할 때 머물기 위한 처소로 마련된 것이지만 평상시에는 수원부 치소로 사용되었다. 행궁은 전체적으로 앞쪽으로 약간 긴 장방형이며 동향으로 배치되었다. 정면 중앙에는 약간 안으로 들여 정문인 신풍루(新豊樓)가 있고 중축 선상에 내삼문인 좌익문(左翊門)과 중양문(重陽門)이 있으며 정당인 봉수당(奉壽堂)이 가장 안쪽에 배치되었다. 봉수당 서북쪽으로는 모서리끼리 연결된.. 2022. 7. 1.
수원 화성(22. 5.29)의 아름다운 美를 찾아서 【수원 화성(2022. 5. 29일 토요일)】 경기도의 수부(首部) 도시 수원은 조선 제22대 정조 대왕이 생부인 장헌세자(사도세자)를 향한 효심과 웅대한 개혁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세운 계획된 신도시로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원침(園寢·왕세자의 산소)을 경기 양주 배봉산에서 지금의 수원 화산으로 옮기면서 축조한 성으로 조선시대 최고 성곽 기술이 녹아 있다. 도심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1997년 등재)인 화성(華城. 사적 제3호)이 팔달산을 중심으로 5.7㎞ (면적 37만 1145㎡/약 11만 2400평)에 걸쳐 펼쳐져 있는데, 정약용 등 당대 최고 지식인들과의 협업 속에서 완성한 것이다. 화성은 화기 공격과 방어에 대처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는 등 우리나라에서 가장 과학적인 설계로 축성된 성곽이.. 2022. 6. 29.
서울식물원(22. 5. 7) 개화산 산행을 한 후 개화역에서 서울식물원으로 이동하였다.. 서울식물원 온실.. 【서울식물원】 서울시 강서구 마곡지구에 소재한 식물원. 서울 시내에서 세계 12곳의 도시 식물과 식물문화를 소개하고 도시의 생태감수성을 높이기 위해 조성되었다. 2007년 국제현상공모를 추진하기 시작한 이래, 2018년 10월 임시 개방했고 2019년 5월 1일 정식 개원했다. 크기는 약 50만 4000㎡이며, 식물 3,100종을 보유하고 있다. 내부는 열린숲·주제원·호수원·습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울식물원은 세계 12개 도시 식물과 식물문화를 소개하고 도시의 생태감수성을 높이기 위해 서울에 남은 마지막 개발지, 마곡에 조성되었으며, 식물원과 공원을 결합한 이른바 '보타닉 공원'으로서 면적은 축구장 70개 크기에 달한다... 2022. 6. 25.
선유도공원(22. 5. 6) 강화 조각공원을 둘러보고 선유도공원으로 가는 길에 철새도래지가 있는 곳을 잠시 들러 그곳에서 식사를 한 후 선유도공원으로 이동하였다. 선유도공원에 다수의 시민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네요.. 선유도는 옛날에는 신선이 내려와 놀다 간 봉우리라 하여 선유봉(仙遊峯)으로 불리던 작은 언덕이었다. 산의 모양이 고양이를 닮았다 하여 ‘괭이산’으로 불리기도 하고, 거친 물살 속에서 꿋꿋하게 서 있는 모습이 선비의 기개를 닮았다 하여 지주봉(砥柱峯)이라 불리기도 했다. 김정호(金正浩, 1804?~1866?)의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의 별책 격인 『경조오부도』(京兆五部圖, 1861)에도 선유봉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을 보면, 선유도는 오랫동안 섬이 아니라 산으로 존재했던 것이다. 뱃길로 연결된 양화나루.. 2022.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