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사실계곡, 세검정, 홍지문, 석파랑 (12.11.14)
한양도성 순성길 백악산 새로 개방된 코스 트레킹을 마치고 백사실계곡, 세검정, 홍지문. 석파랑을 둘러보았다.. 백사실계곡 가는 길은 가을로 물들어 있고.. 백사실계곡 : 팔각정 ~ 능금마을 ~ 백석동천 ~ 현통사에서 마무리하고 세검정 터로 이동.. 【백사실계곡】 백사실계곡은 백사실은 북악산(백악산) 아래 있는 계곡으로 서울에서 보기 드물게 문화사적(백석동천, 사적 제462호)과 자연환경이 잘 어우러진 우수한 자연생태지역으로서 도롱뇽, 개구리, 버들치, 가재 등 다양한 생물체들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1 급수 지표종인 '도롱뇽'은 서울특별시자연환경보전조례에 의한 서울시 보호 야생동물로서 백사실계곡에 집단으로 서식하고 있어 그 보존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이다. 아는 사람만 안다는 서울의 청정 계곡으로 도롱..
2020. 11. 28.
한양도성 북악산 구간(20.11.14)과 새로 개방코스
【북악산 (2020. 11. 14일 토요일)】 북악산은 높이 342m의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서울의 주산(主山)이다. 서쪽의 인왕산(仁王山, 338m), 남쪽의 남산(南山, 262m), 동쪽의 낙산(駱山, 125m)과 함께 서울의 사산(四山) 중 하나로, 북쪽의 산으로 일컬어졌다. 조선시대까지 백악산(白岳山), 면악산(面岳山), 공극산(拱極山), 북악산(北岳山) 등으로 불렸고, 특히 조선시대에는 주로 백악 또는 백악산으로 불렸으며 일부 북악이라고 불렸다. 북악산은 북한산의 남쪽 지맥의 한 봉우리에 해당한다. 산경의 흐름을 보면 한북정맥(漢北正脈)의 끝자락인 북한산 보현봉에서 서남 방향으로 형제봉을 거쳐 북악터널 위의 보토현(補土峴)으로 이어진다. 이어 표고 328m의 봉우리와 팔각정 휴게소 앞 능선을 따라..
2020.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