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지역276 인왕산 ~ 안산 종주산행(23. 8.26) 【인왕산 ~ 안산 연계 산행(2023. 8. 26일 토요일)】 인왕산(338m)은 산 전체가 화강암으로 되어 있고, 암반이 노출된 것이 특징이다. 서울의 성곽은 이 산의 능선을 따라 지나며 동쪽 산허리에 북악산길과 연결되는 인왕산길이 지난다. 인왕산은 조선 개국 초기에 서산(西山)이라고 하다가 세종 때부터 인왕산이라 불렀다. 인왕이란 불법을 수호하는 금강신(金剛神)의 이름인데, 세종 때 조선왕조를 수호하려는 뜻에서 산의 이름을 개칭하였다고 한다. 서울의 진산(鎭山) 중 하나이다. 일제강점기에 인왕산의 표기를 인왕산(仁旺山)이라 하였으나, 1995년 본래 지명인 인왕산(仁王山)으로 환원되었다. 경복궁 왼쪽에 자리한 인왕산은 예로부터 황제가 태어날 명당이 있다는 말들이 심심찮게 돌았다. 도성의 풍경 가운데 .. 2023. 9. 5. 남한산(23. 8.19) 8월 단상 【남한산성 산행(2023. 8. 19일 금요일)】인기 백대명산 제95위 남한산성은 북한산성과 함께 도성(都城)을 지키던 남부의 산성으로 동·서·남문루와 장대(將臺)·돈대(墩臺)· 암문(暗門)·우물·보(堡)·누(壘) 등의 방어 시설과 관해(官해), 군사 훈련 시설 등이 있다. 이 산성의 주변 지역에는 백제(百濟) 초기의 유적이 많이 분포되어 있어서, 일찍부터 온조왕대(溫祚王代)의 성으로도 알려져 왔다. 신라(新羅) 문무왕(文武王) 13년(673)에 한산주(漢山州)에 주장성 (晝長城, 일명 일장성(日長城))을 쌓았는데, 둘레가 4,360보로서 현재 남한산성이 위치한 곳이라고 믿어져 내려온다. 고려시대의 기록에는 보이지 않으나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誌)에 일장산성(日長山城)이라 기록되어 있으며, 둘레가 3.. 2023. 8. 26. 관악산 피서산행(23. 8. 5) 건강셀프등산회 제893차 산행은 피서철을 맞이하여 계곡이 있는 관악산으로 피서 산행을 추진하였다. 서울에 요 근래 비가 내리지 않아서 그런지 관악산에도 물이 말라가고 있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계곡에서 피서를 즐기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중앙아시아 ~ 카라코롬 여행 후 첫 번째 산행에 동행하신 모든 분들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관악산 정상.. 산행 추진 : 관악산 입구역 ~ 관악산 계곡 ~ 호수공원 ~ 제4야영장 ~ 삼거리 약수터 ~ 연주암 ~ 관악산입구역의 원점산행 관악산 계곡 물놀이장 개장.. 물레방아도 돌아가고.. 호수공원.. 관악산 계곡나들길은 총 3,2km 입니다.. 첫 번째 계곡에서 휴식을 취합니다.. 계곡에 제법 피서객들이 많이 있습니다.. 한 사람이 정자를 독식하고 있네요.. 약수터를 지나갑.. 2023. 8. 14. 부천 거마산 ~ 상지산 ~ 소래산(23. 6. 3) 건강셀프등산회 884차 산행은 당초 남군자산으로 추진하려고 했으나 산행인원을 고려 부천 거마 ~소래산과 장미원으로 변경 추진하였다. 산행 전에 부천 백만송이 장미원을 둘러본 후 거마산의 들머리인 장수동 은행나무에 도착하였다. 이 은행나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정도로 멋졌으며, 산행은 거마산 ~ 상지산 ~ 소래산으로 추진하였다. 소래산은 2017년 한 번 다녀온 산이나 거마산 ~ 상지산은 처음 진행하는 산이었다. 산은 낮으나 주변 일대의 멋진 조망도 볼 수 있었고, 소래산에서는 보물인 마애보살입상을 볼 수 있었다. 부천 소래산.. 2021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800년 된 장수동 은행나무.. 장수동은행나무 장수동 은행나무는 인천광역시 기념물 제12호(1992년 12월16일)로 지정됐으며, 이후 자연ㆍ학술적.. 2023. 6. 17. 여주 보금산 ~ 마감산(23. 5.27) 건강셀프등산회 제883차 산행은 여주 보금산 ~ 마감산 산행이 추진되었다, 오늘은 부처님 오신 날로 산행 전 '신록사'를 둘러보고 신록사 뒷산 봉미산도 걸었다. 신록사는 강가에 있는 절이라는 특이한 점이 눈에 띄었으며, 멋진 600년 된 향나무와 은행나무가 있는 절이었다. 신록사를 둘러본 후 보금산 ~ 마감산 원점 회귀산행을 하였다. 산은 초입 부분만 조금 가파르고 그 외는 능선상으로 아주 편안하고 부드러운 산행을 즐길 수 있는 곳이었다. 산행을 마친 후 귀경길에 명성황후 생가를 방문하였는데 아주 잘 보존하고 유지되고 있었다. 일본 낭인에게 피살된 명성황후의 죽음이 헛되지 않을 수 있도록 우리나라가 더욱더 단결하여 일본을 넘어서길 기대해 본다. 함께한 모든 분들 수고 많았습니다.. 마감산 정상.. 마감산.. 2023. 6. 12. 아차 ~용마산(23. 5. 3) 연계산행 국방동우회 등산회에서 아차 ~ 용마산을 추진하였다. 산행은 광나루역 1번 출구에서 시작하여 아차산을 오른 후 용마산으로 진행하였다. 아차 ~ 용마산은 조망이 좋은 곳으로 수도 서울이 시원하게 조망되었다.. 아차산 정상인증.. 아차산(297.5m) 서울과 구리시에 걸쳐 있는 아차산은 야트막한 산으로 산세가 험하지 않아 구리와 인근 시민들이 가벼운 산행을 위해 자주 찾는 곳이다. 40분 정도의 등산로를 오르면 한강과 서울 시내가 한눈에 보이는 전망이 일품이다. 조선 시대에는 지금의 봉화산을 포함하여 망우리 공동묘지 지역과 용마봉 등의 광범위한 지역 모두 아차산으로 불렸던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시대, 백제의 도읍이 한강 유역에 있을 때 우뚝 솟은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일찍부터 이 아차산에 흙을 깎고 다시 돌과.. 2023. 5. 29. 원미산 ~ 춘덕산 산행(23. 4. 15) 건강셀프등산회 제876차 산행으로 부천 원미산 ~ 춘덕산 산행이 추진되었다. 원미산 진달래 축제는 끝이 났지만 산행 당일인 오늘 춘덕산 복숭아꽃 축제가 시작되어 복사꽃의 멋진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산행 중 비가 조금 내려 산행을 마치고 다시 찾은 복숭아꽃에 물방울이 맺혀 있는 아름다운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춘덕산 복숭아꽃 축제는 역곡공공주택사업지구에 포함되어 올해 축제를 치른 후 당분간 중단됨에 따라 이번에 제대로 찾아온 것 같다. 춘덕산 정상 가는 길은 춘덕약수터와 역곡2동 갈림길 사이로 올라가야 되는데 밧줄로 쳐 있어 찾아가기가 쉽지 않다.. 원미산 정상.. 춘덕산 복숭아꽃 축제장소를 지나 산행이 시작됩니다.. 수채화 같은 모습..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됩니다.. 진달래동산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2023. 5. 9. 국방동우회 등산회 시산제(23. 3. 15(수)) 국방동우회 등산회는 오늘 북한산 향로봉 올라가는 빈터에서 23년 시산제를 거행하였다. 금년은 청산도, 한라산 등의 원정산행도 실시하는 등 등산회의 활성화를 통해 회원들의 단합과 건강을 추구하기로 하였다. 시산제를 마치고 일정 구간 산행을 실시하였으며, 산행을 마치고 막걸리 한잔으로 마무리하였다.. 금년 한 해 국방동우회 등산회의 발전을 기원드립니다.. 2023. 4. 27. 이전 1 ··· 3 4 5 6 7 8 9 ··· 35 다음